DOI QR코드

DOI QR Code

항공영상을 이용한 을숙도 지형의 정량적 변화 분석

Analysis of Quantitative Topographical Change in Eulsuk-Island Using Aerial Images

  • 투고 : 2011.09.28
  • 심사 : 2011.10.25
  • 발행 : 2011.10.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하구 을숙도 지역에 대하여 1983년부터 2007년까지 장기간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형변화 분석을 최초로 실시하였다. 먼저, 과거 항공사진의 사진기준점 측량을 위해서는 과거부터 존재하고 있는 특정점에 대하여 GPS를 이용하여 지상기준점(GCP : Ground Control Point) 측량을 실시, 이후 이를 이용한 과거 항공영상의 사진기준점 작업 수행 시 1m 정도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후 사진기준점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정사영상을 제작하여 과거부터 최근까지의 지형변화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연구 대상지에 대한 각 연대별 변화요인에 따른 전체면적, 건설현장, 식생, 건물과 도로의 면적 변화량을 알 수 있었다. 전체 면적의 경우 1983년부터 1992년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식생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건물과 도로의 경우 그 면적이 전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위적, 자연적 영향으로 인하여 변화가 예상되는 을숙도와 낙동강 하구의 지형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s an analysis of topographical changes to the Eulsuk-Island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long-term dataset of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from 1983 to 2007. Ground control surveying was performed at some feature points us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to accomplish AT(Aerial Triangulation) for past aerial images. Even if some still existing feature points appeared on old aerial images were used as GCPs(Ground Control Points) for past aerial images in AT, its accuracy reached at 1m level. Since then, a quantitative analysis of topographical changes was conducted on digital orthophotos produced by a series of aerial images taken by different years. The change volume of total area, construction, vegetation, buildings and roads could be extracted per each period in study area. The total area decreased from 1983 to 1992, but it has not almost changed since 1992. According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the area of vegetation has steadily decreased, while that of buildings and roads has generally increas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us with invaluable base data for further topographical change monitoring in Eulsuk-Island and Nakdong River estuary caused by continuous development in this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홍, 최승필, 육운수, 송영선 (2005), CORONA 위성영상을 이용한 동해안 해안선 변화탐지, 한국측량학회지,한국측량학회, 제 23권, 제 4호, pp. 419-426.
  2.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 19권, 제 4호, pp. 361-374.
  3.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0권, 제 4호, pp. 416-427.
  4. 노백호, 이창희 (2006),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II-1,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 1-2.
  5. 류성훈, 이인철, 박소영 (2009),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내지형변동에 따른 식생면적의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한국해양공학회, 제 23권, 제 4호, pp. 19-24.
  6. 오치영, 박소영, 최철웅, 전성우 (2010),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낙동강하구 지형변화탐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8권, 제 1호, pp. 21-29.
  7.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한국해양공학회, 제 21권, 제 2호, pp. 54-60.
  8. 윤한삼, 유창일, 강윤구, 류청로 (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한국해양공학회, 제 21권, 제 2호, pp. 22-34.
  9. 윤한삼, 유창일, 류청로, 이인철 (2005),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주변의 퇴적환경변화,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해양환경공학회, pp. 44-49.
  10. 이재원, 김용석, 위광재 (2010), 다중시기 영상자료를 이용한 을숙도 습지 지역의 정성적 변화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 13권, 제 2호, pp. 64-73.
  11. 이재원, 이기철, 김용석, 위광재 (2009), LiDAR 자료를 이용한 을숙도 지역의 3차원 습지 구분도 제작,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7권, 제 6호, pp. 639-647.
  12. 정승진, 김규한, 편종근 (2004), 항공사진을 이용한 장기해안선변화 조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 16권, 제 1호, pp. 10-17.
  13. 최철웅, 김연수, 서용철 (2005),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을 이용한 해안선변화 탐지에 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 17권, 제 2호,pp. 61-69.
  14. 환경부 (2009), 환경백서, pp. 286-287.

피인용 문헌

  1. 낙동강 하구역에서 2013-2015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분포 특성 vol.22, pp.6, 2011, https://doi.org/10.7837/kosomes.2016.22.6.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