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ce Organization and Landscape Culture on Upper-class's House('Sauidang') in Late Period of the Joseon

조선 후기 상류주택 사의당(四宜堂)의 공간체계와 조경문화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2.1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By studying 'Sauidangzi' written by Honggyungmo(1774~1851), this paper shows on the locati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the landscape culture of 'Sauidang' which was upper class's house in late period of the Joseon. Sauidang was the residence of about 530 kan(about $1,750m^2$) which was given to Jeongmyunggongju(daughter of Sunzo) by Injo when she married with Hongjuwon, located at the good place where Mt. Mokmyuk, Mt. Dobong, Mt. Inwang, and Janwon peak are harmonized all together. The residence was on the foothill of Mt. Mokmyuk, facing to the northeast. The main house was facing to the east with the inner and back yards, and the separate house(Sauidang) was facing to the west with the garden, and a vegetable field was set in the outer yard where is connected with a main road where willow trees were lined up, 'Sauidang' was called as "the garden of princess", and a stair-shaped flower garden was made to the south, and one could look down the Hanyang castle as a whole. In the garden, there were trees and house plants enriching one's mind to wish an eternal life with oddly shaped stones or flowers, and symbolizing a fairly land. There were 38 types of trees that were planted either on the ground or in pots as various bundles like 1 tree, 2 trees, 3 trees, 4 trees, 5 trees, 8 trees, and 9 trees. Taehosuk, oddly shaped stones, stone panels, stone pillars, jade panels, sundial, walls and fences, stone stairs, steppingstones, and buildings were set for the landscape. Also, the residence had rare luxuries of landscaping culture like Wangheeji's Nanjungsoogyeseo, Sosik's Cheeongjeongi, Jomangboo's Jeokbyukboo, and Anpyungdaegoon's Behaedangcheop.

홍경모(1774~1851)가 기술한 '사의당지'를 원전으로 조선시대 후기 경화세족의 저택 '사의당'의 입지와 공간구성 체계 및 조경문화를 추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의당은 정명공주(선조의 딸)가 홍주원과 혼인한 후 인조에게 하사받은 대지면적 530여칸 규모(약 $1,750m^2$)의 저택으로 목멱산, 도봉산, 그리고 인왕산과 장원봉이 풍수적 사신사 구조를 이룬 생룡형(生龍形) 길처에 자리했다. 한양 남부방 목멱산 아래 북동향으로 자리하였는데, 동쪽에 본채(정당) 영역을 설정하여 안뜰과 후정을 가꾸었고, 서쪽에 별당 영역(사의당)을 설정하여 원림을 조성했으며, 바깥마당은 채원을 일구어 버드나무가 줄지어 심어진 큰길과 연결되었다. 사의당을 심원(沁園: 공주의 원림)으로 비유하였고, 남쪽으로 화원과 화계가 어우러진 원림을 가꾸었으며, 북쪽으로 한양성 안팎을 부감(俯瞰)할 수 있었다. 뜰에는 정심수와 분경(盆景)을 가꾸었고 괴석과 화목 등으로 불로장생을 염원하거나 신선경의 세계를 상징화 하는 등 정신세계의 풍요를 추구했다. 식재 수종은 38종이 도입되었는데, 직접 나무를 땅에 심는 지종(地種)과 화분에 가꾼 분종(盆種)으로 구분하였고, 1점식, 2점식, 3점식, 4점식, 5점식, 8점식, 9점식 등 다양한 식재가 이루어졌다. 조경시설 요소로 태호석, 괴석, 석대(石臺), 석주(石柱), 옥대(玉臺), 석구(일영대), 담장과 울타리, 석계(石階), 섬돌, 누(樓) 등이 도입되었다. 한편, 왕희지의 난정수계서, 소식의 취옹정기, 조맹부의 적벽부, 안평대군의 비해당첩 등 조경문화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진귀한 명품을 소장하며 즐겼다.

Keywords

References

  1. 규장각 한국학연구원(2009). 조선 양반의 일생. 서울: 글항아리. pp.194-195.
  2. 김기주, 김성우(1989). 조선후기 한양의 상류주택 조영비 추정에 관한 연구. 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9(1): 190.
  3. 김희춘(1975). 한국의 전통과 건축. 대한건축학회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p.18.
  4. 동국여지비고(1865-1883). 규장각.
  5. 서유구(1764-1845). 임원경제지.
  6. 신상섭(1994).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외부공간 조영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2(1): 3-4.
  7. 신상섭(2007).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 찾기. 서울: 대가출판사
  8. 안대회(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파주: 돌베개. pp.165-168.
  9. 유가현, 성종상(2010). 조선후기 사가원림의 해석과 재현.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집. pp.112-115.
  10. 이종묵(2008).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주거문화와 사의당. 한문학보. 19집: 567-590.
  11. 이종묵(2009). 사의당지, 우리집을 말한다. 서울: 휴머니스트. pp.13-102.
  12. 주남철(1980). 한국주택건축. 서울: 일지사. pp.54-55.
  13. 주남철(2009). 한국의 정원.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pp.261-265.
  14. 최기수(2004). 자연에서 얻는 삶과 지혜, 팔경과 구곡.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33-148.
  15. 한성부지도(1900). 규장각.
  16. 홍경모(1774-1851). 관암전서. 규장각.
  17. 홍만선(1643-1715). 산림경제.
  18. http://happybks.com/goods/detail.html?goods_code=978-89-5862-286-4&grade
  19. http://www.pusannews.kr/news2006/asp/center.asp?gbn=v&code=1700&key=20090827.22031203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