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at the Geumsidang(今是堂) sibigyung(12 Landscapes) in Miryang, Gyungnam

밀양 금시당(今是堂) 12경의 문화경관 해석

  • Eom, Tae-Geon (Major in Environmental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Kim, Soo-Jin (E&A Division, Samgsung Everland) ;
  • Park, Jung-Lim (Major in Environmental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Kang, Han-Min (Major in Environmental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엄태건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 ;
  • 김수진 (삼성에버랜드(주) E&A 사업부) ;
  • 박정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 ;
  • 강한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Received : 2011.03.18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examined characteristics of Yeoju Lee family, rich group at Miryang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round Geumsidang(今是堂) Lee Gwang-jin remains as a cultural landscape appeared in pictures, poetry, and a strange story. Geumsidang Lee Gwang-jin returned to his old home abandoned the middle government post after the death of Moonjeong queen in socially confused stage and tried to manage an annex to a Geumsidang located in Baekgok of Eungchun riverside, and Geumsidang he managed was affected by his teacher and uncle Wolyoun Lee Tae of a view of nature, filial behavior, and nature management etc. Also, 'Painting of 12 landscapes to Geumsidang' is landscape painting with the actual view not like the '8 landscapes of So-Sang' or '8 landscapes of Sa-Si' which is abstract landscape and Lee Gyeong-hong drew 12 landscapes of Geumsidang that includes Angbong(鶯峰: nightingale peak), Yongdu mountain(龍頭山), Mubong Buddhist temple(舞鳳寺), Maam mountain(馬巖山), Wolyeon-dae(月淵臺), Saindang village(舍人堂村), Youngnam-ru(嶺南樓), Miryang eubseong(密陽邑城), Eyeonso(梨淵沼: pear tree deep water), Yullim(栗林: chestnut tree forest), Miryang river(密陽江), Sammundong fields(沙門野), land and government office owned by Yeoju Lee family as landscape objects. 'Poems of 12 landscapes to Geumsidang' by Lee Yong-gu 11th sons of Lee Gwang-jin was written based on 'Painting of 12 landscapes to Geumsidang', and sang for time, season, and changes of the weather. All 12 poems are all a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consisted of all 28 words, but does not match completely with shown elements in pictures because it is not a simple description of pictures but it is recreated by writer's personality. Therefore these painting shows not only th meaning of filial behavior but also village owned by Yeoju Lee family rich group in Miryang, and these poem recreated the pictures by changing as certain scenic spot with the object of enforcing territory of Yeoju Lee family.

본 연구는 조선 중기 밀양의 부호세력이었던 여주이씨 일가의 금시당 이광진 유적을 중심으로 그림, 시문, 기문 등에 나타나고 있는 문화경관으로서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금시당 이광진은 사회적 혼란기였던 문정왕후의 죽음 이후 중기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응천강변의 백곡에 터를 잡고 금시당을 건립하여 별서를 경영하고자 하였는데, 그가 경영한 금시당은 숙부이자 스승인 월연 이태로부터 자연관과 효행, 산수경영 등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금시당십이경도는 이경홍이 병환으로 위중한 아버지 이광진을 위로하고자 금시당 주변의 아름다운 12경관을 그린 것으로 구전되며, 꾀꼬리봉, 용두산, 무봉사, 마암산, 월연대, 사인당 마을, 영남루, 밀양읍성, 배나무 소, 밤나무 숲, 밀양강변, 삼문동들 등 당시 여주이씨 일가가 소유하고 있었던 땅과 관아를 경관 대상으로 하여 소상팔경이나 사시팔경의 관념적인 산수화가 아닌 실경을 담고 있는 산수화이다. 금시당십이경시는 금시당십이경도에 근거하여 작성된 제화시로서 이광진의 11대손 이용구가 지은 것으로 시간과 계절 그리고 기상의 변화를 노래하였다. 시 12수 모두 칠언절구로 글자 수가 모두 28자로 이루어졌으며, 단순히 그림의 외형적인 묘사가 아닌 작자의 개성에 의해 재산출되었기 때문에 그림에서 보이는 요소들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금시당십이경도는 단순히 효행의 의미뿐만 아니라 밀양의 부호세력으로서 여주이씨 일가 소유의 장원을 나타내고 있으며, 금시당십이경시는 그림을 재산출하여 특정한 명승지로 변화시켜 여주이씨 일가 소유의 영역성을 보다 강화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조, 김경란(1991). 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2): 27-36.
  2. 강윤숙(2000). 한국 복식에 나타난 수의 상징성. 한국복식학회지. 50(7): 113-127.
  3. 고연희(2000). 조선 초기 산수화와 제화시 비교고찰. 한국시가학회지. 7(1): 343-373.
  4. 구본현(2007). 한국 한시의 특징과 전개(1). 동방한문학회지. 33: 263-302.
  5. 권순강(2004). 밀양 여주이씨 조영활동에 관한 연구. 밀양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동찬, 민경숙(2003). 충청북도 팔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2): 30-39.
  7. 김수진, 심우경(2005). 고산구곡에 나타난 율곡의 경관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4): 1-13.
  8. 김수진, 정해준, 심우경(2006).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51-61.
  9.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7). 서계 박세당의 석천동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12.
  10.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 이태(1483-1536)의 월연정 별서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18-30.
  11.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 한강 정구(1543-1620)의 무흘구곡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59-73.
  12. 노재현(2000). 가사문학 상춘곡에서 전개되는 풍류와 경관해석. 한국정원학회지. 18(4): 48-56.
  13. 노재현, 신상섭, 허준(2002). 강호가사문학에 나타난 선인들의 풍류경관상. 한국정원학회지. 20(2): 33-43.
  14. 노재현, 신상섭, 김상범, 조찬문(2007). 영주십경의 형식 구조와 의미 내용을 통해본 제주의 경승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47-58.
  15. 노재현, 신상섭, 조찬문(2007). 팔경 구조 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 조망권역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1-23.
  16. 노재현(2007). 단양팔경의 활인성과 경승형상화 전개 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75-93.
  17. 노재현, 박율진, 김형율(2008). 배산 연주정 12경의 경관상과 표현미학적 특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9-19.
  18. 박은하(2009). 한국 속담에 표현된 수와 의미. 한국학연구 31: 235-263.
  19. 서은숙(2005). 소식 제화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신상섭, 노재현(1998). 경관정체성 향상을 위한 전주팔경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4): 25-35
  21. 심우경(2003). 소쇄원에 내재된 상징성. 한국정원학회 소쇄처사 양산보탄신 5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초록집. pp.77-88.
  22. 이어령(2006). 대나무. 서울: 종이나라.
  23. 이운성(2000). 금시당선생문집. 금시당집국역판간행위원회.
  24. 이운성(2000). 영남루 연혁의 오류와 금벽루에 대한 견해. 밀양문화. 1.
  25. 이원호, 이종성, 김용기(2006). 석파정의 조영과 공간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21-31.
  26. 이원호, 김용기(2006). 포천 금수정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39-50.
  27. 이재근(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이재승(2002). 중국어의 숫자에 나타난 문화적 함의. 인문논총. 15: 229-238.
  29. 이행렬(2005). 한산팔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23-38.
  30. 정동오(1973).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2): 27-33.
  31. 정동오(1982). 정약용의 원림생활연구; 정다산 전서를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2) 123-136.
  32. 정동오(1987). 윤선도의 부용동원림에 관한 연구. 고산연구. 1: 269-294
  33. 정동오(1989). 보길도 지역 고산 문화유적 조사 연구; 고산 윤선도의 별서생활과 부용동 원림의 지원에 관한 고찰. 고산연구. 3: 102-142.
  34. 진희성, 노재현(1991). 팔경의 의미체험에 따른 풍경 개념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2): 31-43.
  35. 최경환(2008). 실경산수도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 이용구의 <금시당십이경> 시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지. 18: 159-192.
  36. 최경환(2009). 화면상의 풍경과 시적 풍경의 차이와 근거: <금시당십이경도>와 <금시당십이경> 시의 대비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지. 20: 38-72.
  37. 최기수(1989). 경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4): 133-138.
  38. 최기수(1990). 곡과 경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최기수(2004). 자연에서 얻는 삶의 지혜-팔경과 구곡.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33-138.
  40. 최은창, 홍광표(1994).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정원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1): 135-148.
  41. http://www.krpia.co.kr
  42. http://map.naver.com
  43. http://miryang.kcc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