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Middle Aged Male's Intimacy toward Parents and Self-Efficacy of Care-Giving on Their Care-Giving Commitments for Aged Parents: Focused on the Multiple Group Analysis between Subjects with Healthy Parents and Subjects with Unhealthy Parents

중년남성들의 노부모와의 친밀성과 수발효능감이 노부모 수발헌신에 미치는 영향: 부모건강집단과 부모병약집단 간의 다집단분석을 중심으로

  • Lee, Won-Jun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hin, Sung-J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원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연구소) ;
  • 신성자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연구소)
  • Received : 2011.08.31
  • Accepted : 2011.10.19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s in:(1)the positive direct effects of both individual's intimacy toward parents and individual's self-efficacy of care-giving roles on individual's care-giving commitment; (2)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individual's self-efficacy of care-giving on individual's care-giving commitment; (3)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unhealthy condition of individual's elderly parents on each causal relationship. For conducting this study, a survey method was used on 318 males with parents at the aged of 45-60, residing in Daegu and KyungPook. In order for subjec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explo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ed the direct, indirect effect and moderating effects, which suggested in research questions. Participants with unhealthy parents showed greater tendency in terms of influencing their intimacy toward parents on care giving commitment than participants with healthy parents did. The above findings claimed our attention in that provided a range of practical impli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권중돈(1994). 한국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상욱, 양철호(1998). 노인부양행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시부 및 시모에 대한 공변량 구조모형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지, 35(8), 51-83.
  3. 김지영(2001).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혜경(2006). 3세대 가족과 핵가족의 각 세대별 인구사회학적 부양관련 태도 및 가족관계적 특성의 차이. 사회복지정책, 27, 55-77.
  5. 두산백과사전(2008). 서울: 동아출판사.
  6. 박경숙(2002). 한국과 일본에서 장애노인 가족부양자의 사회 적 보호 서비스에 대한 이용욕구: 가족부양과 사회적 보호서비스는 대체적 관계인가 보완적 관계인가?. 한국노년학, 22(1), 241-260.
  7. 박순미(2008). 노인부양유형과 부양서비스의 모형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의순(1990). 대학생이 지각한 조부모와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창제(2006)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위한 휴식보호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32(여름호), 295-326.
  10. 박현정, 최혜경(2001). 한국노인의 자녀와의 동거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노인의 노후 부양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1-13.
  11. 배병렬(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2. 백지은(2001). 사회관계망 유형에 따른 노부모 부양자의 부양행동 및 심리적 건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류현숙, 류삼희(2007).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7(1), 195-211.
  14. 서소영, 김명자(1998). 며느리의 시부모부양에 따른 보상, 부양의식, 부양행동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2), 39-50.
  15. 송다영(2004). 부양의식을 통해 본 노인부양 지원정책 방향성: 기혼여성의 부양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207-233.
  16. 송현애(1987). 부양을 중심으로 한 노모-성인자녀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신영선(2004). 맞벌이부부 가족의 노부모 부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교환이론 및 가족주의 가치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양옥경, 이재경, 김인숙, 윤홍식, 송다영(2007). 가족복지 정책과 실천, 경기: 공동체.
  19. 엄명용(2001). 가족(성인자녀)에 의한 노인부양의 종류와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전(원)가족관계 양상 분석 및 개입전략의 제시. 한국사회복지학, 47, 206-242.
  20. 오인석, 구봉진(1999). 자기효능감 측정의 비판 및 대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0(2), 36-37.
  21. 우국희(1997). 치매노인 수발인의 수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경험 - 가족갈등과 부정적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10, 383-413.
  22. 윤수경(1991). 재가치매성 노인 보호제공자의 사회적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은경, 조윤득(2008). 부양자의 죄책감이 수발도움 요청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8(4), 1249-1264.
  24. 윤현숙(2001). 노인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및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1(2), 141-161.
  25. 윤현숙, 류삼희(2007).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7(1), 195-211.
  26. 이가옥, 이미진(2000). 가족이 수발하는 장기요양보호노인의 보호욕구 사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 255-275.
  27. 이미애(2006). 주부양제공자의 하위집단별 부양부담 및 특정 수발항목에 대한 부담도, 노인복지연구, 33, 279-300.
  28. 이민홍, 윤은경(2008). 요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대처기술이 수발부담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31-54.
  29. 이위환, 권용신(2005). 가족친밀감과 노인의식이 노인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4(2), 165-178.
  30. 이원준(2009). 중년남성들의 노부모와의 친밀성과 수발효능감이 노부모 수발헌신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진숙(2002). 독일의 공적 가족복지 전달체계에 대한 분석: 한국 가족복지 전달체계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 가족과 문화, 14(3), 131-161.
  32. 장영은, 엄기욱, 김정숙, 나카지마 가즈오(2008). 요보호 노인을 수발하는 가족원의 수발헌신척도 개발 및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42, 79-98.
  33. 정경희, 조애저, 오영희, 변재관, 변유찬, 문현상(1998).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정애랑(1999). 여성의 취업과 노인부양에 관한 각국의 동향 과 대응방향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1), 1-17.
  35. 조병은, 신화용(2004). 노모부양에 대한 성인자녀의 공평성 지각 및 이익에 따른 관계의 질: 공평성 이론에서 본 한국과 재미교포사회의 비교. 한국노년학, 24(3), 231-247.
  36. 조윤주(2002). 대학생의 부모와의 애착갈등 및 부양의무감과 부모부양의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조추용(2004). 노인이 가족에게 기대하는 부양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 71-99.
  38. 최동희(1991). 주부가 받는 스트레스와 시부모 부양행동.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최정혜(1999).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의 세대별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9), 85-101.
  40. 최혜경, 문숙재, 정순희, 김은경(2001), 노인부양지표개발: 노인부양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부양모형 제시. 여성건강, 2(1), 99-119.
  41. 최혜지(2004). 가족수발자의 서비스 욕구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행동모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281-303.
  42. 최희경, 이인숙(2005). 비정형가족의 특성과 가족복지에의 함의-강점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5, 245-283.
  43. Bandura, A.(2001).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W.H. Freeman & Company.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교육.건강.운동.조직에서의 성취). 박영신, 김의철(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1997년 원저발간).
  44. Cafferey, R. A.(1992). Caregiving to the elderly in Northeast Thailand.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7, 117-134.
  45. Carpenter, B. D.(2001). Attachment bonds between adult daughters and their older mother: Associations with contemporary caregiving. The Jouranl of Gerontology, 56(5), 257-266. https://doi.org/10.1093/geronb/56.5.P257
  46. Cicirelli, V. G.(1983). Adult Children's Attachment and Helping Behavior to Elderly Parents: A Path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2, 815-825.
  47. Fischer, J., & Corcoran, K.(1994).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A sourcebook (2nd edition.) Vol.1. Couple, Families, and Children, THE FREE PRESS.
  48. Folbre, N.(2007). THE INVISIBLE HEART. 보이지 않는 가슴, 또 하나의 문화. 윤자영(역). 서울: 또하나의문화. (2001년 원저발간)
  49. Shrout, P. E., & Bolger, N.(2002). Mediations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5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Cited by

  1. Unraveling the factors determining the redevelopment of Seoul's historic hanoks vol.41, 2014,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13.09.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