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학)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과 4학년 학생의 대학원 진학 요구도

Needs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Bachelor's Degree Completion Program and 4-year Course

  • 이민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서혜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김효원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정원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 김남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치위생학과)
  • Lee, Min-Young (Dep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eo, Hye-Yeon (Dep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Hyo-Won (Dep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ung, Won-Gyun (Dep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Nam-Hee (Dept. of Dental Hygie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1.03.08
  • 심사 : 2011.06.10
  • 발행 : 2011.06.30

초록

치과위생사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생과 4학년 학생 두 집단의 대학원 진학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 대학원 진학 시 필요한 정보제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2010년 5월 26일부터 2010년 6월 24일까지 조사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연구대상자는 두 집단 모두 대부분 여자였으며, 20-24세군에 속하였다. 2. 전공심화과정 학생이 4학년 학생보다 20% 이상 대학원 진학을 더 많이 희망하였다. 전공심화과정 학생은 치위생학, 보건학, 경영학 순으로, 4학년 학생은 치의학, 치위생학, 보건학 순으로 선호하는 전공에 차이가 있었다(p<0.05). 3. 두 집단 모두 시간제를 선호하였지만, 전일제만 비교해 보았을 때는 4학년 학생이 전일제에 대한 요구도가 더 높았다. 두 집단 모두 대학원 진학을 고려할 때 '본인이 희망하는 전공'을 가장 우선시 하였으며, 전공심화과정 학생의 경우 기타항목(접근성, 학비, 학위취득기간)을 더 많이 고려하였다(p<0.05). 두 집단 모두 입학정보 사이트, 교수, 동기나 선배를 통해 대학원 정보를 취득하였다(p>0.05). 4. 두 집단 모두 치위생학 석사과정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전공심화과정 학생(76.6%)이 4학년 학생(52.6%)보다 치위생학 석사과정 진학을 더 많이 희망하였다(p<0.05). 대학원 개설 학교는 치위생(학)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생과 4학년 학생들에게 입학정보 사이트를 통해 대학원 관련정보를 주고, 대학원 진학을 위한 입학설명회를 개최하고 학생들의 출신학교, 혹은 재학 중인 학교 홈페이지에 대학원 입학 관련 정보를 링크하여 접근하기 쉽게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각 대학 교수에게 대학원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진로 상담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위생(학)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학생과 4학년 학생들에게 대학원 진학선택의 기회를 넓히고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the needs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Bachelor's Degree Completion Program(BDCP) and 4-year cours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entering graduate school.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from the $26^{th}$ May to the $24^{th}$ June, 201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SPSS WIN 18.0 program. More BDCP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enter graduate school (p<0.001). More BDCP students wanted to study Dental Hygiene but more of the 4-year course students wanted to study Dentistry in graduate school (p<0.001). Both groups prefer the part-time curriculum but only if it was the same as the full-time curriculum and more 4-year course students answered in this way (p<0.05). The major was the highest consideration when they choose graduate school, but the BDCP students also considered other reasons (distance, registration fee, period) (p<0.05). Most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visiting the web-site (p>0.05). Both groups responded 'yes' to the need for development of a master's course in dental hygiene but a higher proportion of BDCP students (76.6%) answered in the affirmative (p<0.001). In conclusion, graduate schools should find the various ways to give more information to the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우은영: 치과위생사의 교육수요 결정요인[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행정.자치 대학원, 서울, 2009.
  2. 황경숙: 직장인의 평생교육 요구조사[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005.
  3. 오창환, 정철영: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의 대학원 진학 선택 결정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4): 199-218, 2009.
  4. National wage data: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Retrieved August 23, 2010, from http://www.kdha.or.kr
  5. 정원균 등: 우리나라 치위생학 학문체계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위생(학)과 교수협의회, 1-143, 2009.
  6. 김선영, 김지영: 치위생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인식 및 취득의향.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10(1): 19-31, 2010.
  7. 이소우: 한국간호교육 100년 발달사적 연구(1900-200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2):303-326, 2000.
  8. Rowe DJ et al: Outcome assessment related to professional growth and achievement of baccalaureate dental hygiene graduates. J Dent Educ 68(1): 35-43, 2004.
  9. 정영란, 최혜숙: 치위생과 전공심화과정을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 및 결과활용 사례. 한국 치위생교육학회지 9(1): 193-205, 2009.
  10. 장영호 등: 치과위생사들의 학점은행제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치위생과학회 7(4): 287-293, 2007.
  11. 김창숙: 한국.미국 치과위생과 대학 교육과정 비교[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제주, 2004.
  12. Tripp HG et al: Dental hygiene focus on advancing the profession. Chicago,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2005.
  13. Darby ML, Walsh MM: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3rd edition. Saunders Elsevier, Missouri, pp1-11, 2008.
  14. National wage dat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trieved August 20, 2010, from http://www.mest.go.kr
  15. 김태수: 의료기관 종사자의 교육수요와 이직의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2005.
  16. 이제봉: 대학교육의 환경변화와 대학정책의 과제. 한독교육학회 9(1): 53-75, 2004.
  17. 양승경: 교육과정 결정주체별 치과위생사 직업전문성과 교육과정 구성요소와의 관계[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천안, 2009.
  18. 백일우: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교육수료 연구. 교육학연구 37(1):279-304,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