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Fiel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Waterproof Method for Riverbed

친환경 하상차수공법 현장 적용성에 관한 연구

  • 박민철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성구 (SK건설 파주운정지구 물순환시스템 조성공사) ;
  • 곽노경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 신효희 (대림대학 토목환경과) ;
  • 이송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10.15
  • Accepted : 2010.12.14
  • Published : 2011.01.01

Abstract

In period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as doing river conservation work by using harmful materials environmental pollution has adversely effected humans, animals and plants frequently. For recovery of environmental pollution it needs a lot of time and cost.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take an environment-friendly method which is also economical and durable both results of the laboratory model test and field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aboratory model test, those methods such as concrete paving, asphalt paving, bentonite mat, stabilized soil method and mixed soil method have small amount of seepage, but on the other hand compaction soil, grassland and permeable materials have considerable amount of seepage. The results of field test show a similar tendency with laboratory test and have been satisfied to assess standard of domestic water permeability below $1.0{\times}10^{-7}cm/sec$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s also than 1.0MPa so it has been satisfied about standard. In conclusion, as compaction rate increased, as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increased and coefficient of permeability decreased.

급속한 경제발전시기에는 하천공사 시 유해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으로 인한 인간 및 동식물에 악영향을 끼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를 복구하는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사 중의 차수공사시 환경오염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으로 저렴하고, 장기적으로 사용할 시 내구성에 문제없는 공법을 적용하고자 실내모형실험결과와 현장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내실험결과 콘크리트 포장재, 아스팔트 포장재, 벤토나이트 매트, 고화토공법, 혼합토공법은 적은 침투량을 나타내었고, 이와 반대로 다짐흙, 초지, 투수성 포장재는 많은 양의 침투량이 발생되었다. 현장투수실험결과는 실내실험투수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국내차수시설 투수기준인 $1.0{\times}10^{-7}cm/sec$ 이하에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일축압축강도는 1.0MPa 이상 결과값을 얻어 기준에 만족하였고, 다짐도가 증가할수록 일축압축강도는 증가하고 투수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균(1998), 국내산 벤토나이트의 차수재로서의 공학적 특성, 한국자원공학회지, Vol. 35, No. 4, pp. 800-806.
  2. 석재덕(2005), GCL을 이용한 하상의 안정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 45-58.
  3. 신은철, 김성환(1998), 폐석회의 점토차수재로서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4, No. 5, pp. 29-38.
  4. 이광열(2001), Soil-Bentonite 혼합토의 다짐 및 투수성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 21, No. 6-C, pp. 689-696.
  5. 이송, 이재영, 김흥석(2000), 폐기물 매립지 바닥층의 고화토포설시 동결/융해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6, No. 1, pp. 179-189.
  6. 주재우, 서계원, 박종범(2006), 벤토나이트 혼합토의 혼합비에 따른 투수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22, No. 1, pp. 45-52.
  7. 한국화학시험연구원(2009), 벤토나이트 매트 시험, H213-09-02820. pp. 1-2.
  8. Auvinet, G. Y. and Hiriart, G. (1980), An Artificial Cooling Pond for the Rio Escondido Coal Fired Power Plant, Proceedings of, ASCE Symposium on Surface Water Impoundments, Minneapolis, Vol. 2, pp. 1089-1098.
  9. Chapuis, R.(1990), Sand-Bentonite liners: Predicting Permeability from Laboratory Test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27, No. 1, pp. 47-57. https://doi.org/10.1139/t90-005
  10. Lundgren, T.(1981), Some Bentonite Sealants in Soil Mixed Blankets, Proceedings of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Stockholm, 15-19 June, Balkema, Rotterdam, Vol. 2, pp. 349-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