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zing Safety Management Elements for Fire Preparation and Assessemnt of Fire Hazard

화재에 대비한 지하공간의 안전관리 요소분류 및 화재위험성 평가방안

  • Received : 2011.05.19
  • Accepted : 2011.06.0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risk categorized five safety management elements(equipment and structure, evacuation, lifesaving and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plan, operations management) were classified in order to establish safety system of underground space. Using classified safety management elements, assessment of fire hazard was performed. After calculating the grade of evaluation categories, assessment of fire hazard was suggested. The three grades of evaluation categories are classified as to importance and four criteria of evaluation are classified as to check result based on subdivisions.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 안전체계 확립을 위하여 위험상황별 5 가지 안전관리요소(시설 구조, 피난, 인명구조 소화활동, 성능기반의 화재 안전계획 운영 관리)를 분류해 보았다. 분류된 안전관리 요소로 화재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평가항목을 분류하고, 평가항목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화재위험성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가항목에 대한 배점은 중요도에 따라 3 단계로 분류하여 단계별로 차등 부여하였고, 평가항목별 점수 평가기준은 소분류의 평가항목 점검결과를 통해 4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주 (2004). "지하도시공간 방재계획의 가이드라인" 방재연구. Vol.6, No.1, pp.45-55.
  2. 박재성. 윤명오. 이용재 (2003). "지하철 역사의 피난안전성능 확보를 위한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Vol. 19, No.8, pp.91-100.
  3. 박준욱. 나욱정. 홍원화 (2010). "지하공간 피난 안전 규정 분석 및 설계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Vol.26, No.5, pp.55-62 ..
  4.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서울시 소재 문화재의 화재안전관리체계 구성방안.
  5. 이강훈 (1996). 지하공간의 화재안전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신소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