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위험성 평가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선박 선착장 지하공동구 화재위험성 평가

  • Min, Se-Hong;Sa, Jae-Cheon;Lee, Jae-M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44-45
    • /
    • 2013
  • 본 연구는 선착장이 있는 부두의 변전소와 지하로 연결된 지하공동구에 대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하여 위험성을 발췌하고 실측을 통해 공동구의 재원을 확보하고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화재위험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 PDF

KFSA- I에 의한 건물의 화재위험성 평가

  • Lee, Soo-Kyung;Ko, 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91-96
    • /
    • 1997
  • 건축물의 고층화와 그 구조의 다양화, 고밀도화에 따른 실내의 가연물 증가등으로 인한 화재의 잠재적인 위험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건물화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물의 잠재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한다는 것은 건축물을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를 미연에 예방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고,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화재 위험성을 정량화 시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쉽게 평가 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ologies of Urban Fire Risk in Korea (우리나라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구축에 관한 연구)

  • Koo, In-Hyuk;Shin, Yi-Chul;Kwon, Young-Jin;Hayashi, Yoshihiko;Ohmiya, Yoshifu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52
    • /
    • 2010
  • 최근 우리나라는 건축물화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진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화재는 화재경계지구 등 화재에 취약한 도심지에서 발생 시 대규모 시가지 화재로 확대될 위험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대응책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의 분석 및 적용성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hazard through statistic examination and calorie analysi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통계적 고찰과 수목분포에 따른 열량분석을 통한 산림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김광일;김동현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4 no.3
    • /
    • pp.27-32
    • /
    • 2000
  • Th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hazard is the first priority to be considered in the prevention, extinction and control of wildland fire. For the standard to measure wildland fire hazard, the wildland fire Warning System is currently being used in Korea which computes the wildland fire occurrence hazard index through a stick weight to moisture conversion formula. It shows the risk of fuel substance being exposed to fire by meteorological factors. For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hazards by area, the major factors'hazards need to be measured and the assessment of wildland fire needs to be conducted through historical statistic examination. Therefore, the wildland (ire outbreak frequency and its seriousness of damage are analyzed through historical statistic examination to conduct the assessment of a wildland fire hazard, and then the calorific value of a forest is analyzed through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measurement which assesses the comparative calorific hazard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 PDF

Method of Qualitative Hazard Assessment of Forest Fire for the Major Temple in Domestic Using by Checklist (체크리스트 기법을 이용한 국내 주요사찰의 정성적 산불위험성 평가 방법)

  • Kim, Dong-Hyun;Lee, Ji-Hee;Yi, Myung-Sun;Kim, Kw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432-435
    • /
    • 2011
  • 산불로 인한 피해는 비단 산림뿐만 아니라 산림인접지 가옥, 사찰과 같은 건축물에서도 발생된다. 특히, 사찰은 국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어 산불로 인해 소실될 경우 문화 자산의 피해가 불가피하다. 이에 국보보유사찰, 문화재 다량보유사찰, 조계종 교구 본사, 세계문화재 등재 사찰 등을 포함한 우리나라 주요사찰 42개소에 대해 미국 Firewise 및 캐나다의 Firesmart에서 제시한 산림인접지 시설물의 위험성 평가 방법을 기반으로 체크리스트 기법을 이용하여 '사찰 산불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체크리스트 주요 항목은 크게 입지 여건, 임상 및 산림과 사찰의 이격거리, 산불발생 개연성, 사찰 주변 가연물 화재위험성, 적정소방시설 여부, 기타 화재방지를 위한 시설물 평가 등 총 6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26개 세부항목을 작성, 평가하였다. 정성적 위험성 평가 결과, 산불로 인한 화재 위험성이 높은 사찰과 산불피해 저감 대책을 제시하였고 향후,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통한 위험관리 모델 제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Categorizing Safety Management Elements for Fire Preparation and Assessemnt of Fire Hazard (화재에 대비한 지하공간의 안전관리 요소분류 및 화재위험성 평가방안)

  • Bae, Yoonshin;Park, Jihy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7 no.2
    • /
    • pp.96-109
    • /
    • 2011
  • In this study, risk categorized five safety management elements(equipment and structure, evacuation, lifesaving and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plan, operations management) were classified in order to establish safety system of underground space. Using classified safety management elements, assessment of fire hazard was performed. After calculating the grade of evaluation categories, assessment of fire hazard was suggested. The three grades of evaluation categories are classified as to importance and four criteria of evaluation are classified as to check result based on subdivisions.

The Study of Estimation Actual Fire Test Result and Evaluation Fire Hazard Using a Cone Calorimeter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실물화재 예측 및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Ryu, Sang-Hoon;Moon, Sung-Woong;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5-169
    • /
    • 2011
  • 실제 화재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실재 화재 조건을 모사 또는 구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및 환경 문제를 생각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단위 재료를 태우거나, 전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를 기초 데이터로 실제 화재 실험인 room corner test의 총열방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의 부피 및 밀도와 보정상수를 활용하여 실제 총열방출량에 근접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산출된 총열방출량을 근거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재실자의 화재 및 연기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화재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연물에 따른 화재에 의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A Development of Model for Fire Hazard Assessment in the Buildings (건물의 화재 위험성 평가를 위한 모델(Model) 개발)

  • 이수경;김수태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0 no.4
    • /
    • pp.29-36
    • /
    • 1996
  • The hazard assessment in which the potential hazard factors in the buildings are investigated and the scale of the hazard is analyzed should be performed first in order to prevent personal and material damages due to building fire. In this study, the building fire hazard are assessed using 822-item checklist, for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which the main factors are classified into 10 items, yielding 100 scale points with some weighting. It is shown that present model is applicable for the assessment of all general building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suitability of assessment model by actual assessment of existing building. Also, the checklist is prepared in itemized questionnaire form for easy assessment of building fire hazard. Therefore, the present model will be helpful for those working in fire prevention, who are suffering from the lack of manifest evaluation model for the fire prevention assessment so far in Korea.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Assessment Method of Urban Fire Risk in Korea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화재 위험성평가기법 구축에 관한 연구)

  • Koo, In-Hyuk;Shin, Yi-Chul;Kwon, Young-Jin;Hayashi, Yoshihiko;Ohmiya, Yoshifu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27-130
    • /
    • 2010
  • 최근 우리나라는 건축물 화재의 지속적인 증가 및 지진으로 인한 화재위험성의 증가로 대규모 도시화재의 발생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대응책이 공학적인 접근이 아닌 단순한 통계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도시화재 위험성을 평가하여 향후 우리나라 도시화재 위험성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for Fire Risk Analysis of High-rise Building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위험성 평가기법 위한 통계적 예측에 관한 연구)

  • Kwon, Young-Jin;Kim, D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0-275
    • /
    • 2009
  • 최근 소방법의 경우 초고층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성능설계 및 화재영향평가등을 실시할 예정으로 있으며 특히 화재위험성평가등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며 그 방법론 또한 구축되어 있지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보는 전보에 이어 화재 위험성평가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일환으로서 위험성예측에 사용하는 화재발생의 상위에 의한 화재규모와 rmm 발생율을 각용도별로 기존의 화재에이터 및 가연물조사결과등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