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aster Management and Disaster Medical Improvement in Underground Space

서울시 지하공간 재난관리 및 재난의료 개선방안

  • Received : 2011.05.19
  • Accepted : 2011.06.2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disaster management and disaster medical improvement was described in underground space(specifically underground shopping center) in case of fire disaster occurred. Firstly, statue and system was discussed concerning building law, safety, fire services, refuge. The underground in Seoul management is classified as to space and form and management ag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form. Because the difficulty of emergency rescue arises due to individual management system unified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and improvement of facility management agent is necessary. For the patient to be transfer on the ground, corporation between command head quarter and emergency rescue team are essential. And disaster information an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are also need to be considered. Therefore,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emergency saving is urgent considering distribution of medical institution and medical treatment.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공간에서 화재발생시 재난관리 및 재난의료 개선방안을 지하상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먼저 지하공간에서의 법령 및 제도를 건축법관련, 안전관련, 소방관련, 피난관련으로 고찰해 보았다. 서울시 지하상가의 분류는 공간 및 형태적 유형에 따라 나눌 수 있으며, 유형별 형태에 따라 관리주체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개별관리체계로 인하여 화재 및 재난발생 시 현장의 통합지휘체계와 현장 응급구조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향후 통합관리를 위한 대책 및 시설관리주체의 개선이 필요하다. 재해 발생 시 이송이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려면 의료진과 응급구조사가 존재하고, 현장지휘본부와의 협조가 원활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평소에 재해정보와 응급의료정보가 실시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용의료기관 분포와 진료능력등을 고려하여 재해 발생 시 효율적인 대처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일 (2005). "지하공간의 방재설비 적용기준" 화재안전점검, Vol.109, pp.23-29.
  2. 박준욱 (2010). 지하역사 피난 안전 설계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3. 서울특별시 (2006). 지하공간 종합 기본계획 수립.
  4. 소방방재청 (2008). 지하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5. 왕순주, 정제명 (2003). "대구지하철 화재 시의 피해자 이송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pp. 248-254.
  6. 이정은, 황현숙, 김창수 (2008). "지하공간 안전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Vol. 12, No.1, pp.81-91.
  7. 한국과학재단 (2005).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분석을 통한 초등의료체계 및 도시방재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