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희양산 경관의 역사적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Landscape Cognition of Mt. Hee-yang

  • 안계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Ahn, Gye-Bo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eagu)
  • 투고 : 2011.09.07
  • 심사 : 2011.11.16
  • 발행 : 2011.12.31

초록

이 연구는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희양산을 다룬 22가지 고문헌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우리 선조들이 희양산에 대하여 가졌던 인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희양산 일대는 산맥 속에 깊숙이 위치하는 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은둔자가 별서를 경영하기에 적합한 곳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희양산은 신라시대부터 봉황등천과 봉암용곡의 형국으로 해석되어졌는데, 이러한 해석은 그 지형경관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인식된 것이었으며 조선시대에도 계속 이어졌다. 유람의 목적은 선인의 발자취를 이어보기 위한 것이거나, 탐방의 숙원을 풀기 위한 것이거나, 휴가를 즐기기 위한 것이었다. 희양산을 방문한 유람객들을 분석해 보면 조선시대 초기에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였으나, 조선시대 말기가 되면, 그 사회적 지위가 매우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 희양산 유람경로 분석을 통해 탐방객들에게 인식력이 높은 장소는 희양산 봉우리, 선유동, 백운대, 야유암, 봉암사 순이었다. 주 목적지로 유람되었던 희양산 봉우리는 신선이 사는 선경으로 인식되었으며, 백운대는 그 기이한 경관으로 인해 방문객마다 다양하게 인식되던 곳이었다.

Mt. Hee-yang is located in Mungyeong-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of twenty-two different ancient writings which covers Mt. Hee-yang, and three times of field studies, I tried to analyze the cognition of our ancestors in those days regarding Mt. Hee-yang. Since Mt. Hee-yang goes very deep in the mountain range, Mt. Hee-yang was recognized as appropriate place for seclusion or operating Byeolseo. From the era of Silla, in terms of Fengshui, Mt. Hee-yang was also interpreted as an image of either a phoenix flying into the sky(鳳凰登天) or a valley of a phoenix and dragon(鳳巖龍谷). This cognition comes from its formations of topographical features, and continued to the era of Joseon Dynasty. The purposes of excursion were to retrace the course of predecessors, to attain one's long-cherished desire to visit, or to enjoy holidays. From the analysis of Mt. Hee-yang's visitors, the average social status of them is lowered a lot around the end of Joseon Dynasty, compared with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Studying the visitor's route of Mt. Hee-yang, I could see the places that are highly-recognized were the top of Mt. Hee-yang, Seonyudong(仙遊洞), Bakundae(白雲臺), Yayuam(夜遊岩). Mt. Hee-yang was recognized as Sun-kyung(仙境) where Sin-seon(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the sage of old) lives, and mostly it was main destination of visit while Bakundae(白雲臺) was perceived diversely on each visitor because of its strange scener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벌(1752). 冲齋集.
  2. 권수제(1907). 연재문집.
  3. 권오정 등(2010). 희양산 소나무 군집구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 31-34.
  4. 김문기(2004). 문경의 구곡원림. 파주. 문경시.
  5. 김장호(2009). 한국 百名山記. 평화출판사.
  6. 김창협(1709). 農巖集.
  7. 김창흡(1732). 三淵集.
  8. 문경시(2010). 산림유전자자원보호림 실태조사 및 연차별 사업계획 수립용역.
  9. 문경시(2011). 희양산 봉암사. 주(경일).
  10. 민우수(1799). 貞菴集.
  11. 민족문화추진회(1985). 신증동국여지승람 IV. 서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2. 민족문화추진회(2004). 농암집 4. 헤럴드미디어.
  13. 서거정(1970). 속 東文選. 경희출판사.
  14. 성해응(1797-1826). 硏經齋全集.
  15. 송병선(1907). 淵齋集.
  16. 송준길(1687). 同春堂集.
  17. 오원(1752). 月谷集.
  18. 이덕무(1900년대). 靑莊館全書.
  19. 이유장(1775). 孤山集.
  20. 이익성 역(2006). 택리지. 서울: 을유문화사.
  21. 이혜순 등(1997). 조선 중기의 유산기 문학. 서울: 집문당.
  22. 정경세(1657). 愚伏集.
  23. 송기채 역(1994). 정약용. 다산시문집 제 13권. 민족문화추진회.
  24. 정종로(1835). 立齋集.
  25. 정희량(1897). 허암유집.
  26. 주세붕(1895). 武陵雜稿.
  27. 청은 지수(1783) 희양산봉암사사적(필사본).
  28. 최성대(1700연대). 杜機詩集.
  29. 최원석(1996. 9. 3). 사찰과 풍수지리 3: 문경 희양산 봉암사. 주간불교 456.
  30. 최치원(이상형 역 2009). 고운집, 헤럴드미디어.
  31. 최현(1778). 인재집(訒齋集).
  32. 홍귀달(1611). 허백정집.
  33. 홍대구(1694). 東庵遺稿.
  34. 홍병화, 김성우(2007). 희양산봉암사 극락전의 연구. 건축역사연구. 16(5): 7-20.
  35. http://www.itkc.or.kr/
  36.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37. http://kyu.snu.ac.kr/
  38. http://people.aks.ac.kr/index.aks
  39. http://river.kwater.or.kr/ga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