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and Mount Effect of Twelve Peaks of Musan in Yongho Garden, Jinju

진주 용호정원(龍虎庭園) 무산십이봉의 경관의미와 축산효과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11.11
  • Accepted : 2011.12.0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study on Musan twelve peaks of Yongho garden in Jinju, Gyeongnam was anticipated to provide data and implication for reproducing similar spaces and modern changes in terms of design factor since it is the prototype of traditional mount for overcoming monotonous geographical features and intriguing changes and interests. The study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symbolism of twelve peaks, principles of space composition and function and effect of visual construction that were pursued by the builder in terms of landscape view, which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center of Yongho garden, Yonghoji(龍虎池) is a typical man-made pond for a supportive feng shui feature. It is a supporting equipment to complete the state of feng shui, and the result of strengthening the completion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dragon-related name of the place. The shape of Musan twelve peaks looks like an oval form of Geumseongsan(金星山), 2~3.5m in height and 6~12m in diameter. Peaks are estimated as 1.5~3.7m(2.4m in average) in height, $35{\sim}138m^2$($73.4m^2$ in average) in area, and $30.7{\sim}115.0m^3$($62.5m^3$ in average) in volume. Given that Yonghojeong(龍虎亭), Soseon(小船), the site of main building and Yongsanjae(龍山齋) stand in line, Yonghoji was presumed as the state of enlightenment through ascribing the meaning to virtue and secularity. For the intention of realizing Musan twelve peaks, the builder probably had mounted twelve peaks forming the body of dragons with crossing the point corresponding to a head of tiger, and located Musan twelve peaks and Yonghojeong with a representation of dragons holding Cintamani rising into the sky in the center. The middle area near Musan twelve peaks surrounded by peaks like Geumseongsan running north and south shows a multi-structure of multilayer, maintaining the similarity centering on Yonghoji. It is considered the intention of mount planned at the time of Musan twelve peaks construction, caused by similar form harmony. Internalization of progressive realization through concealment and exposure, enframement effect and spatial order like prospect-refuge theory in the mount of Musan twelve peaks is considered the reflection of the intention to increase depth of the view and expectancy through the various degree of exposure and surroundings of each peak and the colorful combination of viewing and shutting. The "closed view" by Musan twelve peaks creates interesting, vivid and attractive recognition of the view, which is more effective in bringing depth of the view and interests in terms of the geographical design, particularly the area around Yonghoji. Moreo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mbination of peaks can be formed resulted from the view configuration concerning the location through multilayer effect reveals an island through the other one when viewed from Yonghojeong.

본 연구는 경남 진주시 용호정원에 조성된 무산십이봉이 전통적 축산(Mount)의 원형이자, 지형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변화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설계요소라는 전제 아래 시작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가 축산되는 유사공간의 재현 및 현대적 변용에 필요한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또한 크다. 무산십이봉 축산을 통해 조영자가 추구하고자 했던 12봉우리의 상징성과 공간구성원리 그리고 시각구성상의 기능 및 효과를 조망경관적 측면에서 분석 또는 해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호정원의 핵심인 용호지는 비보 풍수적 차원에서 만들어진 인공혈구의 전형적 사례로 풍수형국의 완결을 위한 비보(裨補)의 장치이자 용과 관련한 지명의 연계를 통해 온전함을 강화시키고자 했던 산물이다. 축산의 크기는 높이 2~3.5m, 지름 약 6~12m정도의 오성상 금성산형을 하고 있으며, 봉우리의 높이는 1.9~3.2m, 평균값은 2.5m로 밝혀졌다. 봉우리의 면적은 $35{\sim}138m^2$의 범위에 있고, 면적 평균값은 $73.4m^2$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례한 체적은 $30.7{\sim}115.0m^3$, 그 평균값은 $62.5m^3$으로 추산되었다. 용호정과 소선 그리고 본채 터 및 용산재의 일치된 축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선과 속의 의미 부여를 통해 용호지를 피안의 세계로 상정하였으며, 조영자는 무산십이봉의 형상을 구현시키기 위한 의도로 호두 자리에서 대응되는 지점과 교차되도록 용의 골격을 형상화한 12개의 봉우리를 축산하고, 그 중심에 '여의주를 문 용이 욱일승천(旭日昇天)하는 형상'의 무산십이봉과 용호정을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무산십이봉 주변 중경권역은 남북으로 금성산형의 산봉으로 둘러싸여, 용호지를 중심으로 동질감을 유지한채 다층의 층위구조를 보이는 바, 이는 유사 형태조화에 기인하며 무산십이봉의 조성 시 기획된 축산의도라 사료된다. 무산십이봉 축산에는 은폐와 노출을 통한 점진적인 경관연출과 전망-은신처이론 그리고 틀에넣기 기법 등의 공간 질서가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데, 이는 무산십이봉 각 봉우리의 노출과 둘러싸임 정도의 다양함, 전망과 시선차단 조합의 다채로움을 통해 경관의 심도와 기대감을 높이고자한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무산십이봉에 의해 '닫힌경관'은 흥미롭고 생기 있으며 매력적인 경관인식을 배태(胚胎)하는데, 특히 축산은 용호지와 용호정 주변에 관한 경관의 심도와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지형설계적 차원에서 매우 유용하게 작용하고 있다. 더불어 용호정에서 조망하였을 때 섬을 통해 또 다른 섬이 보이도록 하는 중층적 노출효과를 의도해 특수한 위치를 배려한 경관짜임의 결과인 12개 봉우리의 묶음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렬(2006).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파주: 돌베개. p. 22.
  2. 노재현(2007). "열린경관"과 "가려진경관"의 이미지와 선호도 비교: 패럴랙스(Parallax)효과 유무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4): 10-118
  3. 大山陽生(1970). 造園美學. 造形構成. 誠新光社. pp. 64-65, 126-127
  4. 명석면사편찬위원회(2000). 명석면사. 기획출판 늘함께. pp. 149-154, 995-997
  5. 박기용(2010). 진주의 누정문화. 서울: 도서출판 월인. pp. 149-173.
  6. 박은영(2008). 층위개념을 통한 정원해석: 진주 용호정, 용인 희원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51-62.
  7. 上彬武夫(1982) 造園 風景構造論的硏究, 造園雜誌 46(1): 45-51.
  8. 上原敬二(1942) 日本風景美論. 大日本出版. pp. 12-18.
  9. 서정오(2004). 진주 용호정원의 조영배경과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정오, 김용기, 사공영보(2004). 晋州 龍湖庭園의 造營과 景觀特性에 關한 硏究.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51-62.
  11. 양수룡(1976). 李朝時代의 住宅庭園에 對한 硏究: 西部慶南의 現存古家를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역사경관연구회(2008). 한국정원 답사수첩. 파주: 동녘. pp. 240-252
  13. 이원호(2006).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중엽에 조영된 한국정원 설계요소의 전환기적 양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현우(2011). 16-18세기 누정 문화경관의 의미론적 해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주남철(1985). 한국건축의장(개정판). 서울: 일지사. p. 170.
  16. 진주문화원(1996). 진주지명사. 서울: 제일인쇄사. pp. 353-356
  17. 최창조(1984). 한국의 풍수사상. 서울: 민음사. pp. 65-66.
  18. 樋口忠彦(1975). 景觀構造. 技報堂. pp. 91-115
  19.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도서출판 대가. pp. 247-248.
  20. 허균(2002).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서울: 도서출판 다른세상. pp. 175-179.
  21. Alexander,C., S.Ishikawa and M. Silverstein(1977). A Pattern Language. New York: Oxford Univ. Press. pp. 1108-1111.
  22. Appleton, J.(1975). The Experience of Landscape. New York: Jone Wiley and Sons.
  23. Collins P.(1999). Changing Ideals in Modern Architecture. Montreal: McGill Queen's Univ. Press. pp. 27-28, 292-303.
  24. Cullen, G.(1964). Townscape. NewYork: Reinhold Publishing Co.. pp. 126-132
  25. Gimblett. H. R., R. M. Itami and J. E. Fitzgibbo(1985). Mystery in an im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landscape preference. Landscape Journal. 4(2): 87-95 https://doi.org/10.3368/lj.4.2.87
  26. Litton Jr., Burton(1974). Visual vulnerability. J. of Forestry. July: 392-397.
  27. Robinette, G. D.(1972). Plant, people and environment quality.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hects Foundation. 1: 30-35
  28. Simond, J. O.(1961). Landscape Architecture. Mcgraw-Hill Book Company. Inc. pp. 115-123.
  29. http://seoil5824.blog.me/10014420656
  30. http://100.naver.com/100.nhn?docid=721657
  31. http://blog.daum.net/choogal/16512204
  32. http://cafe.daum.net/bspoongsu/6Rab/72?docid=rOJM|6Rab|72|20070716151938&q=%BF%C0%C7%E0%BB%EA%C7%FC
  33. http://cafe.daum.net/visionyeosu
  34. http://kyujanggak.snu.ac.kr/GZD/GZD_JIMYUNGS.jsp?ptype=class&subtype=jb&lclass=01&mclass=%EC%A0%84%EB%9D%BC%E B%8F%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