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lope Stability Analysis by Rainfall Infiltration

강우침투에 따른 사면의 안정성 평가

  • 한희수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조재호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양남용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신백철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5.04
  • Accepted : 2011.08.22
  • Published : 2011.10.01

Abstract

The unsaturated layers by rainfall infiltration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construction codes to do slope desig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lope behavior according to the saturation layer increase resulted from the rainfall infiltration, to do that the laboratory slope model apparatus was adopted. From the model apparatus, the variation of water content and strength parameters of the model slope were analyzed. The safety factors of model slope was decreased, if saturation layer was increased from 3.0m to 4.5m, which means ground water level 3m selected from construction codes makes higher safety level. Also, if the ground water level is located in soil surface, the lower safety level will show up. Therefore, to make the proper slope design, the experiments and analysis of variation of saturation layer is needed.

현행 사면 안정 해석 시 지하수위 결정방법은 강우에 의한 침투과정에 의한 불포화구간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의한 지표면 상부침투에 의한 포화대 증가에 따른 사면의 안전율 변화를 실내모형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강우침투로 인한 흙의 전단강도 저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실내 사면모형실험을 통해 함수비 변화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강도정수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포화깊이 3.0m에서 4.5m로 변할 때 안전율이 가장 크게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지하수위 (-)3.0m은 다소 과소 설계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표면 포화로 해석할 경우는 과다 설계되므로 사면의 설계 시 강우 침투에 관한 실험 및 해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설계 편람 (토공 및 배수편), pp. 449-451.
  2. 건설교통부(2004), 국도건설 공사설계 실무요령, pp. 241-244.
  3. 건설교통부(2006),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구미서관, pp. 101-138.
  4. 류지협(1997), 불포화 화강풍화토의 투수 및 강도 특성,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pp. 22-39.
  5. 백승철(1999), 절토사면 안정성 검토 사례 - 안동지역, 1999년 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지질공학회, pp. 33-41.
  6. 사공명, 유재호, 이성진(2009), 강우로 인한 조립토 사면에서의 토층 두께 변화에 따른 사면의 활동 분석 : 실내모형실험,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 25, No. 4, pp. 91-103.
  7. 이승래, 오태규, 김윤기, 김희철(2009), 강우침투 시 강우강도와 포화투수계수가 안전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 25, No. 1, pp. 65-76.
  8. 이정식, 한희수, 장진욱, 양남용(2010), 사면의 전단강도와 강우강도와의 상관관계,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ol. 11, No. 2, pp. 13-21.
  9. 한국도로공사(1996), 도로설계 실무편람 (토질 및 기초편), pp. 473-438.
  10. 한국도로공사(2002), 도로설계 요령 (토공 및 배수), pp. 204.
  11. 한국토지공사(1991), Koland 설계기법 연구보고서, 지원(조) 1911-9414, pp. 14.
  12. 한희수, 이정식, 장진욱, 양남용(2010), 불포화투수계수를 이용한 지반의 연속침투능 산정, 대한지질공학회 논문집, Vol. 20, No. 2, pp. 137-146.
  13. Lumb, P. (1975), Slope Failures in Hong Kong, Quart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Hydrogeology,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Vol. 8, No. 1, pp. 31-65. https://doi.org/10.1144/GSL.QJEG.1975.008.01.02
  14. 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1984), Geotechnical Manual for Slopes, 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 Hong Kong, pp. 5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