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n the Theory of a Meaning Landscape in Maechun-Byulup Toesu-jeong Wonlim

매천별업(梅川別業) 퇴수정원림(退修亭園林)의 의미경관론적 해석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Si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이현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김재식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8.15
  • Accepted : 2011.09.1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architectural nature, the thought reflected in the place and the 'meaning-landscape' characteristic of a place, to where a retired scholar had lived. The object of the study is the Maechun-Byulup Toesu-jeong wonlim, which consists of a summer house and a garden for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Toesu-jeong wonlim is located at Daejeong-ri, Sannae-myeon, Namwon-si. It had been built by Maechun Park Chi-Gi in 1870 for his residence after retirement. It is a villa type pavilion and a garden forest which have Banseondaegi(伴仙臺記), Banseondae-10-yeong, Toesu-jeong(退修亭) Sangryangmun, a writing dedicated when putting up the ridge beam of a wooden house), Toesu-jeong Wonwun Byeongsoseo, hanging boards and tablets with poems written on them. In the Toesu-jeong wonlim, there are various 'meaning-landscapes' such as the Maechun-Byulup, Banseondae, Yabakdam and Simjinam together with engraved calligraphy related to the landscaping culture. It is also possible to find the remains of beautiful engraving on the stones and woods at Goksoo Yoogeo(曲水流渠) that suggest the banquets they had while discussing the elegant tastes and appreciating the landscape. The Toesu-jeong wonlim consists of the Toesu-jeong area(a pavilion), the Gwanseon-jae area(a shrine) area and the Gyejeong area(a garden with a brook) area. The pedantic 'meaning-landscape' elements, as the residence of retired scholar who spent his remaining life with elegant tastes, and the expertise of Maechun Park Chi-Gi, as a landscaping architect who built a villa and a garden forest in the motif of a Taoist hermit, can be extracted through the Banseondae-10yeong. The Banseondae-10yeong is the first Toesu-jeong poem and consisting of the Samseon-dae, Sejin-dae, Samcheong-dam, Yabak-dam, Samseo, Takgeum-dam, flat stones, caves, stone sculptures and harvest. The existing vegetation and plants in the Toesu-jeong wonlim are; natural pine forest in the rear garden, zelkova trees, wild cherry trees, apricot trees and pine trees bent to the waterfront direction. Except some ornament-species and shielding-species such as the poplars, most of current trees and vegetation keep the shape of the original Toesu-jeong wonlim landscape.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에 위치한 조선 후기 퇴관(退官) 선비의 장구지소(杖屨之所) 매천별업 퇴수정원림의 조영요소와 이곳에 투영된 작정의도 및 의미경관적 요소의 추적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퇴수정원림은 매천 박치기가 퇴관 후 은거를 위해 1870년 조영한 별서형 누정원림으로, 별업 경영의 면모를 기록한 '퇴수정기(退修亭記), 반선대기(伴仙臺記), 반선대10영(伴仙臺十詠), 퇴수정상량문(退修亭上樑文), 퇴수정원운병소서(退修亭原韻幷小序) 그리고 기타 현판과 주련 등의 기문에서는 조영자와 별업 조영의지 및 자연친화적 산수경영의 의도가 읽혀진다. 퇴수정원림의 공간구성 체계는 '퇴수정권역, 관선재권역, 계정권역' 등 세 권역으로 대별되며, 원림 주변에 새겨진 '매천별업(梅川別業) 반선대(伴仙臺) 심진암(尋眞巖) 야박담(夜泊潭)' 등의 암각서는 원림의 영역성을 규정하는 동시에 원림 작정과 관련한 다양한 의미경관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유상하며 곡수연회를 베푼 곡수유거(曲水流渠)의 조탁 흔적은 문화경관으로서의 별업의 의미를 한층 강화시켜 주고 있다. 더불어 '반선대기'와 '퇴수정원운'의 반선대10영 등의 시문에서는 공간의 의미부여 및 자연 관조를 통해 신선지향적 별업원림(別業園林)을 구축하고자 했던 매천 박치기의 조경가적 면모가 읽혀질 뿐 아니라 귀거래(歸去來)하여 퇴수(退修)하는 은사지소(隱士之所)이자 풍류지처(風流之處)로서의 현학적 의미경관 요소들이 추출된다. 퇴수정원림의 현존 식물상 및 주요 식생요소는 후원에 펼쳐진 송림을 비롯하여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그리고 물가 쪽으로 굽은 소나무 등이 파악되는데, 도입종인 미류나무와 퇴수정 전면으로의 경관 조망에 장애가 되는 일부 수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연에 의탁하여 이루어진 천연적 경관 면모를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규(2005). 풍수학 사전(風水學辭典). 서울: 비봉출판사.
  2. 남원문화원(1989). 남원의 민속자료: 민속신앙을 중심으로. 남원: 전라북도.
  3. 밀양박씨매천종중(1980). 密陽朴氏世稿全, 全北淳昌; 三省印刷社
  4. 서홍식(2008). 退修亭. 전라금석문연구. 11: 3-5.
  5. 신운성지편찬위원회(1997). 신운성지: 운봉면․동면․아영면․산내면. 서울: 以會文化社. p.565.
  6. 이현우(2010). 피향정(披香亭) 일원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85-97.
  7. 전라금석문연구회(2008). 退修亭巖刻書(탁본전시회 도록). 전라금석문연구. 1: 13.
  8. 허균(2009). 한국의 누와 정: 선비, 마음을 다스리다. 서울: 다른세상
  9. http://kin.naver.com/qna/detail.네이버 지식인 홈페이지.
  10. http://cafe.daum.net/dongindapsa.동인 우리문화답사회 홈페이지.
  11. http://namwon.grandculture.net.디지털남원문화대전 홈페이지.
  12. http://www.shinjongwoo.co.kr. 신종우의 인명사전 홈페이지.
  13. http://www.jiri99.com/tt/site/ttboard.cgi?act=read&db=dabang&page=4&idx=5571.지리산 아흔아홉골 홈페이지.
  14. http://db.itkc.or.kr. 한국고전종합DB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