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성에 따른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간 차이, 관계 및 영향력 비교

A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Relationships and Impacts between the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ers by gender

  • 김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투고 : 2010.12.30
  • 심사 : 2011.03.17
  • 발행 : 2011.03.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성에 따른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간 차이, 관계, 및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259명(남학생 133명과 여학생 126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활용한 측정도구는 정종진(1996)의 자아개념 검사도구와 안창규 안현의(2006)의 Holland 진로발달 검사도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하면: (1) 정서적 자아에서 남학생(M=54.857, SD=7.593)이 여학생(M=52.302, SD=8.908)보다 높았다. (2) (1) 직업적성평견에서 여학생(M=42.200, SD=5.918)이 남학생(M=37.372, SD=7.600)보다 높았다. (2) 자율성에서 남학생(M=36.544, SD=5.544)이 여학생(M=35.008, SD=5.118) 보다 높았다. (3) 자아개념은 남학생(r=.175~.761)과 여학생(r=.199~.667)의 진로발달과 정적상관관계를 가졌다. (4) (1) 학업적 자아는 남학생(5.6%~56.3%)과 여학생(8.4%~48.7%)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2) 사회적 자아는 남학생(2.6%~5.9%)과 여학생(2.7%~4.3%)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3) 정서적 자아는 남학생(1.9%~37.0%)과 여학생의(11.2%)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4) 신체적 자아는 남 여학생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comparative of the differences, relationships and impacts between the self-concept and career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ers by gen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9(133 boys and 126 girls) elementary schoole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Jung Jong Jin's(1996) self-concept Inventory and Ahn Chang gyu & Ahn Hyeon eui's(2006) Holland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boy(M=54.857, SD=7.593) was higher than girl(M=52.302, SD=8.908) in 'emotional-self'. (2) (1) the mean score of girl(M=42.200, SD=5.918) was higher than boy(M=37.372, SD=7.600) in 'gender-related prejudice about occupation'. (2) the mean score of boy(M=36.544, SD=5.544) was higher than girl(M=35.008, SD=5.118) in 'autonomy' (3) the revealed that self-concept was highly correlated with boy's(r=.175~.761) and girl's(r=.199~.667) career development. (4) (1) the 'academic-self' had an impact of the boy's(5.6%~56.3%) and girl's(8.4%~48.7%) career development. (2) the 'social-self' had an impact of the boy's(2.6%~5.9%) and girl's(2.7%~4.3%) career development. (3) the 'emotional-self' had an impact of the boy's(1.9%~37.0%) and girl's(11.2%) career development. (4) the 'physical-self' no had an impact of the boy's and girl's career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self-concept for elementary schoolers had an impact career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문희.김매희.유정은(2008). 아동발달론. 서울 : 공동체.
  2. 교학사출판부(2009). 표준 국어사전. 서울 : 교학사.
  3. 권혁본(2001). 자아개념 및 가정환경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봉환.정철영.김병석(2006). 학교진로상담(2판). 서울 : 학지사.
  5. 김옥한(2001). 초등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지연(2000). 아동의 진로의식 성숙도와 자아개념 및 가정환경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지영(2008). 놀이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4(2), 1-20.
  8. 김지현(2008). 아동의 자아개념 및 학습동기와 진로성숙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류성기(2003). 남학생과 여학생 대화 언어의 생태와 지도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22, 195-236.
  10. 민무숙.서우석.구정화.신선미(2003). 초등학생용 양성평등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총론).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11. 박부녀(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철수(1998). 초등학교 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3. 변영계(2005).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서울 : 학지사.
  14. 송인섭(1989). 인간 심리와 자아개념. 서울: 학지사
  15. 송현순(1997). 진로성숙에 관련된 변인에 관한 메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선미.민무숙(2004).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직업선호 분석. 한국교육, 31(3), 1-24
  17. 신철(1997).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안창규.안현의(2006). 홀랜드 진로발달검사. 서울 : 한국가이던스.
  19. 유미숙(2000).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진로성숙도와 개인배경 변수와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경애(2001).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남석(2008). 무삭제 심리학. 서울 : 예담.
  22. 이윤숙(2002).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인식의 관계.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은경(1996). 아동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은경(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5. 이종범(2005).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현림(2007). 진로상담. 서울 : 양서원.
  27. 이현림.주문자(2007).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2), 181-191.
  28. 장석민(2001). 진로교육목표 및 내용 체계화 연구. 서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9. 장원섭(2006). 일의 교육학. 서울 : 학지사.
  30. 장은미(1996).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옥분(2006). 사회정서발달. 서울 : 학지사.
  32. 정종진(1996). 자아개념 진단 검사지 및 실시요강. 서울 : 한국적성연구소.
  33. 정채기(1991). 자아개념, 자아정체감 및 내.외 통제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주문자(2002).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중앙고용정보원(2003). 한국직업사전. 서울 : 중앙고용정보원
  36. 채유경(2003).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상담학 연구, 4(3), 545-561.
  37. 최보윤(2008). 부모의 성취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형윤주(2005).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Angela, D. B., Kerry, B. B., Kris, C. M. & Kim, D. W. (2006).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lans for The Future: A Canadian Perspective,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2, 250-271. https://doi.org/10.1177/0894845305279168
  40. Bames, P. E. (2001). student career development in grade 9 and grade 12: Can growth be assumed?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Seattle, WA, April 10-4).
  41. Bandura, A., Barbaranelli, C., Caprara, G. V. & Pastorelli, C. (2001). Self-efficacy beliefs as shapers of children's aspirations and career trajetories. Child Development, 72(1), 187-206. https://doi.org/10.1111/1467-8624.00273
  42. Brolin, D. E. (1995). Career Education: A Functional Life Skills Approach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43. Collin, A. & Watts, A. G. (1996). The death and transfiguration of career-and career guidance.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ing, 24(3), 385-398.
  44. Crites, J. O. (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NJ: Iawrence erlbaum associates.
  45. Gati, I., Krausz, M. & Osipow, S. H. (1996). A taxo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4), 510-526. https://doi.org/10.1037/0022-0167.43.4.510
  46. Hartung, P. J., Porfeli, E. J. & Vondrecek, F. W. (2004). Child vocational development: A review and reconside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In Press, Corrected Proof, Available online 11 September 2004.
  47. Herr, E. L., Cramer, S. H. & Niles, S. G. (2003).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 span: System approach(6th ed.). New York: Allyn and Bacon.
  48. Holland, M. (1981).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development and self-concept in sixth grad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 228-236.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0-5
  49. Isaacson, L. E. & Brown, D. (2000). Career information,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development(7th ed.). Boston: Allyn and Bacon.
  50. Kelly, K. R. (1993). The relation of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to career self-efficacy and Interests. Gifted Child Quarterly, 37, 59-64. https://doi.org/10.1177/001698629303700202
  51.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K., Stein, L. C. & Gregory, K. (2005).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ory to practice (4th ed.),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지도(박경자.김송이.권연희 옮김) 서울 : 교문사(원판 2002).
  52. Magnuson, C. S. & Starr, M. F. (2000). How early is too to begin life career planning?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ary school year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7(2), 89-101.
  53. McNair, D. & Brown, D. (1983). Predicting the occupational aspirations, occupational expect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Black and White male and female 10th grades.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32, 29-36. https://doi.org/10.1002/j.2164-585X.1983.tb01554.x
  54. Phipps, B. J. (1995). Career dreams of preadolescent stud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2(1), 19-32. https://doi.org/10.1007/BF02247893
  55. Stockard, J. & McGee, J. (1990). Children's occupational preferences: The influences of sex and perceptions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6, 287-303. https://doi.org/10.1016/0001-8791(90)90033-X
  56. Zunker, V. G. (2002). 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6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