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tents Analysis of 'Nutrition and Diet for Adolescents' based on the Elaboration Theory - Middle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정교화 이론에 기초한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분석

  • Shim, Min-Hee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MI-Jeong (Sinmuk Primary School) ;
  • Kim, Young-Nam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1.06.24
  • Accepted : 2011.08.2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contents of 'Nutrition and Diet for Adolescents' in the 12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1st grade textbooks are analyzed based on the elaboration theory. The elaboration theory is the lecture strategy with 7 essential elements, proposed by Reigeluth. The elaboration strategies shown in 'Nutrition of Adolescents' and 'Diet for Adolescents' are all the same in 12 books, the conceptual elaboration, and the process elabora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elaboration strategies shown in 'Diet and Dietary Habit for Adolescents Nutrition Issues' and 'Proper Eating Habit and Nutrition Issues' are different depend upon the textbooks, all 3 conceptual, theoretical, and process elaborations strategies are shown. The element of pro study is presented by study objective, opening the thinking, and looking back. The summarizer is presented in all 11 but 1 textbooks by various activities and data. On the other hand, the element of analogy has the lowest implementation rate, only 3 among the 12 textbooks implement the analogy. The cognitive-strategy activator and learner control are shown in all 12 textbooks, mostly by data. Implementation of more activities and more analogies might be helpful to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Nutrition and Diet for Adolescents'.

본 연구는 Reigeluth의 정교화 이론에 제시된 7가지 교수전략 요소를 이용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영양'은 개념적 정교화, '청소년의 식사'는 절차적 정교화, '청소년의 식사 및 식습관 영양문제'와 '올바른 식습관 및 영양문제'는 교과서에 따라 각기 개념적, 절차적, 이론적 정교화 과정이 활용되고 있다. '청소년의 영양'과 '청소년의 식사'는 학습내용이 단일 주제인 반면 '청소년의 식사 및 식습관 영양문제'와 '올바른 식습관 및 영양문제'는 여러 개의 학습주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활용되는 정교화 과정이 다양한 것으로 판단된다. 선수학습요소는 학습목표, 생각열기, 돌아보기의 명칭으로 12종 교과서 모두에 활용되고 있으며, 요약자는 11종의 교과서에서 활동과 자료를, 종합자는 10종의 교과서에서 활동의 형태를 활용하고 있다. 비유는 활용 실태가 미흡하여 3종의 교과서에서만 활용하고 있고, 인지전략활성자는 활동보다는 그림, 표, 용어 문장의 자료 활용이 많다. 학습자통제 역사 활동과 자료 형태 모두를 활용하고 있다. 인지전략활성자와 학습자 통제는 12종 교과서 모두가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교과서를 집필함에 있어 다양한 자료와 함께 학생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을 보강하고, 특히 학습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적절하고 다양한 비유를 찾아내려는 노력이 배가되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