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al Studies on the Uses of the Rear Garden at Changkyung Palace

창경궁 후원 이용의 역사적 고찰

  • Receiv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exact information of the physical structures and humanistic landscapes to restore the prototype of the rear garden at Changkyung Palace. In this study, various drawings and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Donggwoldo(東闕圖) and Joseonwangzosilok(朝鮮王朝實錄) were analysed. The innat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being inherent of rear garden of Changkyung Palace were tried to match the presence of acting to the specific places. The rear garden at Changkyung Palace was not only the secret garden for the rest of royal family and private life for king and queens but also used as public space for the various ceremonies. At the beginning of building, the rear garden at Changkyung Palace was built for the farming and sericulture of royal family. Since then, various events were held in this place such as archery, military drill and royal plowing and meeting with vassals which were political activities. At the rear garden of Changkyung Palace, Chundangdae(春塘臺), Kwanfunggak(觀豊閣) and Kwandukjung(觀德亭) were the base of specific activities. Also function, use, form, structure, planting and water elements were related organically in these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창경궁 복원을 위한 후원의 물리적 형태와 인문학적 경관에 대한 고찰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동궐도,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연구대상지에 관련된 도상자료와 문헌자료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곳 후원에서 행하여졌던 행위의 실재와 구체적 장소 간의 연결을 시도하여 창경궁 후원에 내재된 고유의 특질과 정체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창경궁 후원은 왕실의 휴식과 왕과 계비의 사생활을 위한 금원으로서의 공간뿐만 아니라, 국가의 다양한 행사를 수용하는 공적인 공간이었다. 최초 조영 당시에는 친경과 친잠을 위해 조성되었고, 이후 왕실의 정치적 행위인 과거시험과 활쏘기 경기(시사(試射)), 군사훈련, 친경(親耕), 신하인견의 행위들이 이곳에서 이루어 졌다. 창경궁 후원에서는 춘당대, 관풍각, 관덕정이 특정행위의 거점이 되며, 이들 영역 내에서는 기능, 용도, 형태, 구조, 식재, 수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래, 이기철(2010). 창덕궁 지당의 변화과정 연구 -동궐도를 기준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1): 107-118.
  2. 고려대학교 박물관(2001).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3. 공준원(2009). 오궁과 도성. 서울: 세계문예.
  4. 궁궐지(宮闕誌). 장서각 K2-4360.
  5. 규장각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6. 김문식, 신병주(2005).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파주: 돌베개.
  7. 김지영(2002). 영조대 친경의식의 거행과 친경의궤. 한국학보. 107: 55-86.
  8. 김현욱(2007).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창덕궁의 공간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40-52.
  9. 김현욱, 김용기, 최종희(2000). 조선왕조실록 분석을 통한 경복궁과 창덕궁 후원의 공간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3): 41-50.
  10. 김현준(2008). 한.중.일 궁궐 조경의 원형 해석 - 창덕궁, 자금성, 동경 어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현준, 심우경(2007). 동궐도에 나타난 식재 현황 및 특징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41-154.
  12. 동궐도(東闕圖).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3. 동궐도형(東闕圖形). 서울대학교도서관 규장각 소장.
  14. 동국여지비고.
  15. 명묘서총대시예도.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6. 문다미(2001). 전통궁궐 공간의 수체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1988). 창경궁 중건보고서. 지역: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8. 문화재청(2005). 동궐도 읽기. 서울: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19. 문화재청(2010). 창경궁복원정비 기본계획. 대전: 문화재청.
  20. 박정혜(2000). 조선시대 궁중 기록화 연구. 서울: 일지사.
  21. 백지성(1996). 조선시대 궁궐에 있어서 제례의식공간의 궁원구성과 식재에 관한 연구 -치조의 내각과 선원전에 대하여 동궐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4(2): 201-212.
  22. 백지성(1994). 창덕궁 후원 어수당구역의 공간구성과 식재에 대하여 - 동궐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2(1): 15-29.
  23. 서울역사박물관, 고려대학교 박물관(2002). 서울, 하늘.땅.사람.지역: 서울역사박물관, 고려대학교 박물관.
  24. 성해응, 연경재전집.
  25. 송희은(2007).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적 의미의 사회적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19(2): 24-44.
  26. 승정원일기.
  27. 신증동국여지승람 비고편(동국여지비고).
  28. 심우경(2004). 한국전통조경의 특성. 건축역사연구. 38(1): 146-151.
  29. 심우경(2005). 우리 전통조경의 특징과 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17-121.
  30. 안두순(1994). 궁궐지 1, 2. 서울: 서울학연구소.
  31. 어제준천제명첩. 부산시립박물관 소장.
  32. 윤도경(2003). 창덕궁 부용지 일원의 위치와 공간구성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덕무, 청장관전서.
  34. 이상민, 정수정, 허학영, 안동만(2001). 우리나라 궁궐 지당의 조성기법에 관한 기초 조사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1): 124-130.
  35.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한국전통조경식재. 지역: 수류산방중심.
  36. 이수학(2000). 창덕궁 후원의 경관에 관한 소고-정조의 상림십경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1): 92-108.
  37. 일성록.
  38. 장동수(2009). 전통문화환경에 새겨진 의미와 가치. 파주: 도서출판 조경.
  39. 장태현(1984). 창경궁 정비 계획 연구-실외 환경개선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 2(2): 27-42.
  40. 정약용, 다산시문집.
  41. 조선왕조실록.
  42. 준천당랑시사연구첩. 고려대학교 박물관.
  43. 최종희(2006). 창경궁 식생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 서울: 창경궁관리소.
  44. 한국고전번역원(http://www.itkc.or.kr)
  45. 한국학중앙연구원(2009). 근대건축도면집(도면편). 성남: 장서각.
  46. 한영우(2006).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파주: 열화당.
  47. 홍재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