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직무교육 혁신을 위한 스마트러닝 선호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Attribute of Smart Learning for SMEs Work-Place Learning Innovation

  • 이정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 장현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 한영도 (KT 그룹컨설팅실)
  • 투고 : 2011.06.14
  • 심사 : 2011.09.20
  • 발행 : 2011.09.30

초록

기업은 유능한 인재가 경쟁력임을 인식하고 조직구성원의 직무교육에 관심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기업교육은 대기업 중심의 이러닝을 중심으로 확대 되었으며 중소기업은 그 경제적 위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영세한 사업규모, 직원의 잦은 이직 등으로 관심과 투자가 부족하였다. 본 논문은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확산, 지식기반 경제의 확대 속에서 중소기업의 직무교육을 혁신 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효율적인 교육학습 방법으로 스마트러닝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용의향과 세부 효용, 속성별 선호도를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소기업은 스마트러닝 수용에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요금 지불에 대한 이슈와 교육장소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었다. 특히 서비스 개별 속성 및 수준에 대한 일반직원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차이 가운데 학습 기기뿐만 아니라 교육학습 방식의 혁신으로 양방향 및 맞춤형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스마트러닝은 향후 중소기업의 변화와 혁신파정에서 차별적인 가치혁신(Value innovation) 전략의 하나로서 기업의 흡수역량(Absorptive capacity)을 향상 시키는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Company's interest in the work place training and investment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because the talent of human resource is the competitiveness itself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However, corporate training programs mainly have focused on large companies and SMEs despite the economic business volume have been treated too lightly so far. This paper regards corporate training programs with one of the methods for SMEs innovation and proposes the smart learning in the smart device diffusion. Concretely, this paper analyzes the utilization intention, each attribute and level in smart learning characteristics using conjoint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SMEs have positive response for smart learning acceptance and SMEs consider significantly the usage fee type and location with the difference between regular employee and administrator. Specially,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customized contents are preferred in the training type. Smart learning can be used as strategic means in supporting the value innovation and enhancing the absorptive capacity in SMEs innovation proc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