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산업 연구: 산업클러스터 특화분석 중심으로

The Study of Industrial Clusters in the Busan, Ulsan, Koungnam as Southeast Area of Korea Analysed by the Location Quotient(LQ) Analysis Method

  • 이상윤 (한나라당 교육과학기술위원회)
  • 투고 : 2011.04.28
  • 심사 : 2011.07.26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의 동남권 지역에 집중되어 위치한 조선 산업에서 산업클러스터의 존재여부를 도출하고 그 위상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정책추진에 있어 주요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를 활용한 특화도 분석을 통하여 부산 울산 경남의 동남권지역의 산업클러스터 여부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이는 산업클러스터의 구체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기에 앞서 먼저 산업클러스터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이 동남권의 입지계수의 값은 1.25보다 작은 결과가 도출되어 이 지역의 조선산업은 아직 특화되지 못했음이 밝혀졌고, 부산 울산 경남지역 각각의 경우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지역의 조선 산업이 아직 특화되지 못했음이 분석되었다. 한편 이러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 세 지역 중 어떤 곳과 조선관련 산업 중 어떤 업종이 각각 전국 대비 가장 특화될 가능성이 높은지도 밝혀졌다.

The role of local economies in pursuing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has expanded with greater influence. So a number of countries have adopted industrial cluster policies for regional and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Korean government, by the same token, puts emphasis on industrial cluster policies. But the academic studies on the necessities and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s for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have been carried out little in Korean due to the lack of empirical studies on Korean industrial clusters. So this study focuses on analysing the industrial clusters in the Busan, Ulsan, Koungnam as southeast area of Korea.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 Are there industrial clusters in the Busan, Ulsan, Koungnam as southeast area of Korea analysed by the Location Quotient(LQ) analysis method? And as a consequence, Shipbuilding industrial clusters of southeast area of Korea were not identifi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