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hermal Crack Control of the In-Ground LNG Storage Tank as Super Massive Structures

지하식 LNG 저장탱크 구조물의 온도균열 제어에 관한 연구

  • Kwon, Yeong-Ho (Dept. of Architecture and Fire Service Administration, Dong Yang University)
  • 권영호 (동양대학교 건축소방행정학과)
  • Received : 2011.08.02
  • Accepted : 2011.09.2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n this study, thermal stress analysis are carried out considering material properties, curing condition, ambient temperature, and casting date of the mass concrete placed in bottom slab and side wall of the in-ground type LNG tank as a super massive structure. Also, based on the numerical results, cracking possibility is predicted and counter measures to prevent the cracking are proposed. For the tasks, two optimum mix proportions were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the thermal stress analysis, the through crack index of 1.2 was satisfied for separately caste concrete lots except for the bottom slab caste in 2 separate sequences. For the double caste bottom slab, it is necessary introduce counter measures such as pre-cooling prior to the site construction. Also, another crack preventive measure is to lower the initial casting temperature by $25^{\circ}C$ or less to satisfy 1.2 through crack index criterion. In the $1^{st}$ and $2^{nd}$ caste bottom slab, the surface crack index was over 1.2. Therefore, the surface cracks can be controlled by implementing the curing conditions proposed in this study. Since the side wall's surface crack index was over 1.0, it is safe to assume that the counter preventive measures can control width and number of cracks.

이 연구는 초대형 매스 구조물인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바닥슬래브 및 측벽에 타설되는 매스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배합조건, 양생조건 및 콘크리트의 타설시기와 초기온도, 외기온 등을 고려한 온도응력 해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해석 결과를 토대로 유해한 균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단열온도 상승시험을 통하여 수화열 관리에 유리하다고 평가된 2종류(벨라이트 시멘트+석회석 미분말)의 최적배합조건을 선정하였다. 온도응력 해석의 결과에 따르면, 바닥슬래브 2단을 제외한 대부분의 분할타설 블록에서 관통균열지수가 1.2이상을 만족하였다. 바닥슬래브 2단의 경우 균열방지 대책으로 선행냉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초기온도를 $25^{\circ}C$ 범위에서 관리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타설블록에서 관통균열지수 1.2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닥슬래브의 경우, 표면균열지수가 1.2이상이기 때문에 양생조건을 준수하면 표면균열을 제어할 수 있으며, 측벽의 경우에도 표면균열지수가 1.0이상을 만족하기 때문에 균열의 수 및 폭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수, "천연가스(LNG)의 향후 수요와 전망," 콘크리트 학회지, 15권, 1호, 2003, pp. 1-3.
  2. 高木淳, 中下兼次, 名倉健, 中村龍, 和賀秀脫, 小野武, 小野定, "世界最大のLNG地下タンクの合理化施工-東京ガス根岸工場 TL-41 LNG地下式貯槽," セメント.コンクリ一トゥヮ.572, 1994.10, pp. 8-13.
  3. 김진근, 양은익,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및 온도응력에 대한 영향 요인," 콘크리트학회 학회지, 9권, 3호, 1997, pp. 15-23.
  4. 강석화,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제어를 위한 시공방법," 콘크리트 학회지, 9권, 3호, 1997, pp. 4-14.
  5. 中野正文, "LNG地下タンク建設技術の變遷と技術開發," 日本土木學會論文集, No.679, VI-51, 2001, pp. 1-20.
  6. 冡原裕, 田中佳利, 鈴木克南, "地下タンク側壁コンクリ一ト自動打設システムの開發," 建設機械と施工法ンポジウム論文集, Vol. 13, 1993, pp. 238-241.
  7. 박찬규, "파이프쿨링 공법적용에 따른 벽체구조물의 온도균열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집, 14권, 1호, 2002, pp. 23-24.
  8. 김은겸, 유상건, 송준석, 박지웅, "지하철 콘크리트 Box 구조물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제어를 위한 최적의 시공방법 제안,"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21권, 2호, 2009, pp. 185-186.
  9. 하재담, 박찬규, 엄태선, 이종열, 백승준, 손영준, "LNG 저장탱크 벽체의 동절기 온도균열 제어방안,"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집, 20권, 1호, 2008, pp. 637-640.
  10. 이재삼, 배연기, 박희곤, 권해원, 이진우,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예측에 관한 온도이력 해석과 실측의 비교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19권, 2호, 2007, pp. 581-584.
  11. 강석화, 이용호, 정한중, 박칠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화열 및 온도응력 해석에 관한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7권, 4호, 1995, pp. 137-148.
  12. JSCE, Specification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s (Construction part)-Mass Concrete, 1996, pp. 173-193.
  13. KCI(Korea Concrete Institute), Concrete Standard Specifications, Korea Concrete Institute, 2003, pp. 142-157.
  14. ACI(American Concrete Institute) Committee 207., "Effect of Restraint, Volume Change, and Reinforcement on Cracking of Mass Concrete," ACI Manual of Concrete Practice Part 1, 1994, 207.2R.
  15. Yoon, D. Y., Song, H. S., and Min, C. S., "Finite Element Analysis on Hydration Heat of Concrete under the Influence of Reinforcing Steel Ba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 and Materials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9 No. 1E, 2007, pp. 33-39. https://doi.org/10.4334/IJCSM.2007.19.1E.033
  16. Kwon, Y. H. and Lee, H. J., "A Study on the Optimum Mix Proportion of the Mass Concrete Designed as Massive and Deep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7 No. 2, 2005, pp. 293-302. https://doi.org/10.4334/JKCI.2005.17.2.293
  17. 靑木 茂, "地下連續壁におけるコンクリ―トの品質評價に關する硏究," 東北大學校, 工學部 建設材料硏究室, 博士學位論文, 1997, 149 pp.
  18. Kim, J. K. and Muhammad, N. A., "Thermal Stress Simulation of Mass Concrete using Thermal Stress Device,"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집, 18권, 1호, 2006, pp. 474-477.
  19. 김진근, 이윤, "초기재령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수축 예측 기술," 콘크리트학회 학회지, 17권, 4호, 2005, pp. 4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