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M활동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PM Activiti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 Lee, Jae-Sik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ong Eui Women's College)
  • 투고 : 2011.11.09
  • 심사 : 2011.12.23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중소기업에 있어서 전사적 생산 설비 보전(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그 결과 개별개선, 자주보전활동을 통하여 경영관점, 고객관점, 성과관점, 그리고 활동관점 등 4가지 관점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획보전, 교육훈련, 안전환경활동은 고객관점, 성과관점, 그리고 활동관점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TPM을 도입한 기업이 전사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생산보전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TPM을 도입 추진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시해 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4가지 관점에서의 성과측정을 통해 TPM 추진 기업에서의 성과측정지표 선정시 추진목적에 따라 어느 관점에서 중점적으로 성과목표를 설정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 역할뿐만 아니라 향후 TPM 성과 관련 후속연구의 기본방향을 제시해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도출된 TPM 활동요인과 성과측정 지표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TPM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및 기업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find out the implementation strategy of TPM activities for SMEs through the analysis which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activity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TPM activity has been playing a important rol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enterprises through the optimization of equipme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124 SMEs propelling TPM activity. By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s,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TPM activities has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evidence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key activity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selection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for target achievement in TPM activity. And it will contribute for objectivity of activity performance in case of displaying measurement indicator showing the performance of TPM activ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