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status of some workers. Answer sheets for questionnarie for 178 workers at Changwon city,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9.0.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have visited dental clinic is lower among group with dental caries than group without dental caries. The respondents who have scaling corresponds to 31.3% in the group with dental caries and a little bit lower percentage is shown in the group without dental cares(p<.05). Among those with dental caries, the respondents who experienced tooth pains are to 51.3% and those who had frequent blooding in gum 48.7% and those who had ordors inside the mouth 53.8%.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had scaling within last one year among the group with gingival inflammation is lower than those without it(p<.001). In the group with gingival inflammation, no smokers are corresponding to 13.9%(p<.01) and those with more than 3 times brush of tooth 4.7% and those with oral hygiene devices are to 5.9%. Important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dental caries are understood as self-evaluation for dental health, dental floss or interdental brush, ordors in the mouth. Also variables related with gingival inflammation are considered as tooth brush before bed time, tongue pain, orders in the mouth, the cold as ice tooth and tooth scaling experience. In summary, Oral health education is needed to increase the motivation of industrial workers to control their basic dental disease.
본 연구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증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상남도지역 일부 근로자 17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아우식증이 있는 군에서 지난 1년간 치과방문경험이 있거나 치석제거경험이 있다고 응답한자에서 치아우식증이 없는 군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치아우식증이 있는 군에서 치아가 쑤시거나 욱신거리며 아픈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자가 51.3%, 잇몸이 아프거나 피가 난 경험이 있다 48.7%, 불쾌한 입냄새 경험이 있다 53.8%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치은염증이 있는 군에서 지난 1년간 치석제거경험이 없거나 치은염증이 없는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p<.001). 치은염증이 있는 군에서 하루 칫솔질 회수는 3회이상이 9.6%, 취침전 칫솔질을 항상 했다 4.7%, 구강위생보조용품 이용은 대부분 했다 5.9%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치아우식증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주관적 구강증상, 치실 또는 치간칫솔 사용여부, 구취증상 변인으로 파악되었고, 치은 염증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취침직후 칫솔질 유무, 혀통증 증상, 구취증상, 시린치아증상, 스켈링경험여부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상 구강검진을 통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