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olicy Review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tional Fishing Harbors and Designated Ports in East Coast of Korea

동해안 국가어항과 지정항만의 수질특성 및 정책적 고찰

  • Lee, Dae-In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enter,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Kim, Gui-Young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enter,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Moon, Ju-Hoon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enter,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Eom, Ki-Hyuk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enter,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이대인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 김귀영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 문주훈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 엄기혁 (국립수산과학원 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 Received : 2011.07.18
  • Accepted : 2011.10.24
  • Published : 2011.11.25

Abstract

The status and changes of water quality of national fishing harbors and designated ports in East Coast of Korea were analyzed to support establishment effective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COD (Chemical Oxygen Demand) concentration was satisfied to designated water quality criteria in most areas, but TN (Total Nitrogen) and TP (Total Phosphorus) exceeded the criteria frequently. Also, peak concentration was summer in COD and SS (Suspended Solid), but winter in TP. Eutrophication index of Ganggu and Pohang (old) area were the highest. Pollution index by function of COD, TN, and TP of Ganggu, Pohang, Jumunjin, and Guryongpo was high with gradual increasing recently, on the contrary, that of Samcheok, Imwon, and Chuksan was decreased. Pollution index involving multi-indictors relation to organics and inorganics was necessary for water quality assessment. Designated water quality criteria needed to be improved because the criteria of Jukbyun and Chuksan was applied more strictly compared to the other regions although without differ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criteria notified lately needed to be related to management pollutants from land-based sources. The continuous diagnosis and monitoring on sediment quality within the study area were necessary for prevention of water pollution and eco-friendly disposal of dredged sediment. Especially, monitoring of Designated Ports was implemented partially, however monitoring ratio of National Fishing Har-bors was 7% to whole part. Therefore, systematic and integrated environmental monitoring for ports and harbors with charge of national management was reestablished by strengthening and securing a legal basis.

동해안 국가어항 및 지정항만의 효율적 수질관리 및 개발계획 수립에 따른 환경성 진단을 지원하기 위해 수질현황과 변동특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COD는 대부분 설정된 수질환경기준을 만족하였지만, TN과 TP는 기준을 초과하는 구역이 많았다. 하계에 최대 농도를 보인 COD, SS와는 달리 총인은 상대적으로 동계에 농도가 높은 양상이었다. 거진항, 축산항과 구룡포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인이 제한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강구항과 포항구항의 부영양화지수가 가장 높았다. 국가어항인 강구항과 지정항만인 포항항, 주문진항과 구룡포항은 오염지수(COD, TN과 TP를 고려한 함수)가 상대적으로 크고 최근 들어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삼척항, 임원항과 축산항은 오염지수가 다소 감소하는 등 연구지역마다 복잡한 변동양상을 나타내어 복수의 수질항목(유기 및 무기물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오염지수의 지속적 평가가 필요하였다. 수질기준적용에서 죽변항과 축산항은 뚜렷한 환경적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구역에 비해 엄격하게 적용되어 있는 등 기준설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최근 설정된 수질등급기준과 평가지수는 개선된 측면은 있으나, 오염원 관리대상 항목과의 연계성이 미흡하고 환산계수 등이 모호한 측면이 있어서 좀 더 보완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항내 퇴적물 오염실태에 관한 기초자료가 매우 부족하므로 준설토의 친환경적 처분과 수질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에 대한 진단과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지정항만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에 국한될 뿐만 아니라, 국가어항 모니터링은 전체의 7%에 지나지 않아서 관련 법적 근거 마련을 통해서 국가가 관리하는 항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방안이 재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10a, 국가해양환경측정망자료, http://portal.nfrdi.re.kr/envirodata.
  2. 국립수산과학원, 2010b, 한국해양환경 조사연보 2009. Vol. 14, pp. 422.
  3. 국토해양부, 2010a, 항만법.
  4. 국토해양부, 2010b, 해역이용행위 유형별 평가기준 개발연구(II) 최종보고서.
  5. 국토해양부, 2011, 해역별 수질등급기준,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344호.
  6. 김광수, 2001, "목포항의 수질 및 부영양도의 계절 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4, No. 3, 3-15.
  7. 김규한, 백종대, 2002, "동해안 중소어항 인근 해안침식 방지대책",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Vol. 14, No. 4, 247-256.
  8. 김귀영, 이대인, 전경암, 엄기혁, 우영석, 2009, "해역이용협의 검토유형 분석 및 제도개선 진단",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 4, 345-354.
  9. 농림수산식품부, 2009, 국가어항개발사업: 모니터링 조사 보고서, 농림수산식품부, pp. 280.
  10. 농림수산식품부, 2010, 어촌.어항법.
  11. 박청길, 2007, 수질분석법, 동화기술, pp. 230.
  12. 신성교, 박청길, 송교욱, 1995, "낙동강 하구해역의 자생 COD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Vol. 28, No. 3, 263-269.
  13. 유청로, 김종화, 박종화, 1990, "어항의 정온도 향상과 수질개선을 위한 기초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Vol. 26, No. 4, 341-352.
  14. 이대인, 엄기혁, 김귀영, 장주형, 2008a,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역이용영향 검토기관의 발전방향",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11, No. 1, 55-62.
  15. 이대인, 엄기혁, 김귀영, 홍석진, 이원찬, 장주형, 2008b, "연안의 효율적 수질관리 방향과 해양환경영향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 14, No. 1, 29-37.
  16. 주용준, 맹준호, 조광우, 2007, "어항 및 항만 개발의 친수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Vol. 16, No. 2, 177-186.
  17. 환경부, 2007, "사업유형별 평가서 작성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가이드라인(안).
  18. NAS(National Academy of Science), 1972, A report of the committee on water quality criteria, Washing, DC., pp. 594.
  19. Nemerow, N.L., 1991, Stream, lake, estuary and ocean pollution, 2nd Ed.,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271-286.
  20. Okaichi, T., 1985, The cause of red-tide in neritic water, Japan fisheries resources conservation association, 58-75.
  21. Redfield, A.C., Ketchum, B.H. and Richards, F.A., 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 water, In: The Sea, 2, M.H. Hill, ed. Wiley, New York, 26-77.

Cited by

  1. Improvement for Impact Assessment of Marine Physical on the Development of Ports and Fishing Harbors in the East Coast vol.19, pp.2, 2013, https://doi.org/10.7837/kosomes.2013.19.2.111
  2.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Documentation Status on the Statements for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Project of Ports and Fishery Harbors vol.21, pp.4, 2015, https://doi.org/10.7837/kosomes.2015.21.4.361
  3. Improvement of The Scope of Business Subject to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s for Developments According to the Fishing Village and Fishery Harbors Act vol.19, pp.3, 2016, https://doi.org/10.7846/JKOSMEE.2016.19.3.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