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ceptual Cost Estimation Model Using by a Parametric Method for High-speed Railroad

매개변수기법을 이용한 고속철도 노반공사의 개략공사비 예측모델

  • 이영주 (한국철도시설공단 계약처) ;
  • 장성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05.06
  • Accepted : 2011.05.16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re is currently applied to the unit cost per a distance (KRW/km) for estimating the conceptual cost of civil work on basic planning stage of high speed railroad. This unit cost is an arithmetic average value based on historical data, which could be in big error. It also is difficult to explain the deficiency comparing the estimated cost derived from next basic design stage. This study provides the conceptual estimation model using by the parametric method and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distance and the geological materials (earth, weathered rock, soft-rock, hard-rock), extracting from the actual data to 36 contracts. The deviation between the unit costs estimated using the developed model and the actual cost data is presented in the range from -0.4% to +31%. This range is acceptable compared the typical range "-30% to + 50%". This model will improve the accuracy of existing method an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ective total cost management and the economic aspects, reduce the financial expenditure.

고속철도 기본계획단계에서 노반공사의 토공사 공사비 추정은 단위길이당 공사비(원/km)를 활용하고 있다. 이 단가는 과거자료를 기준으로 한 산술평균으로 오차가 클 수 있으며, 기본설계 단계 등 다음단계의 견적과 연계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철도연장에 토공사의 기술적 특성인 지질조건을 추가하는 매개변수 기반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을 제시한다. 데이터분석은 회귀분석법을 적용하였으며, 독립변수는 길이, 지질(토사, 풍화암, 연암, 경암) 구성 비율이고, 36개 공구 실적공사비를 참조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실적공사비와 비교한 결과 -0.4% ~ +31% 범위로 나타나, 전형적 범위인 -30% ~ +50% 이내이므로 유효한 것으로 판정한다. 본 모델은 공사비 영향의 주요요인인 길이에 기술적 특성인 지질요건을 추가함으로써 공사비 산정결과의 신뢰도 향상을 꾀함으로써 단계별 효과적 총사업비관리, 재정지출 감소 및 사업의 경제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환(2009)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IPC 거더교의 개략공사비산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2. 김상귀(2010) 교량 건설사업 수행단계별 가용정보에 기반한 개략 공사비산정모델-PSC Beam교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3. 김영목(2008) 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고속도로 공사비 추정 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부산.
  4. 동아건설산업(주)(1999) 공사실적자료에 의한 건설사업비 산정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서울.
  5. 문명재, 이철주, 주기완, 하연희, 곽연륜(2007.6) 대형국책사업 집행실패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한국정책학회, 제16권, 2호.
  6. 윤기중(1982) 통계학, 법문사, 서울.
  7. 이학식, 임지훈(2005) SPSS 12.0 매뉴얼 : 통계분석방법 및 해설, 법문사, 서울.
  8. 조정연, 김경주, 김경민, 김상귀(2008) 표준단면을 이용한 터널 공사비 예측모델개발(I),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D호, pp. 665-675.
  9. 한국개발연구원(2007) S철도사업 비용책정 적정성 검토, 한국개발연구원, 서울.
  10. AACE international (2002) Skill & Knowledge of Cost Engineering (4th ed.), AACE international, Morgantown,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