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Anssolim Technnique of Columns of Main-hall Architectures in Korean Palaces

궁궐 정전건축 기둥 안쏠림기법 고찰

  • Kim, Derk Moon (Architectural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덕문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0.03.29
  • Accepted : 2010.06.0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nssolim is the unique technique which standing columns lean in a inward direction of buildings in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has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to this day. With a dearth of previous studies, the anssolim technique can only be examined through detailed three-dimensional surveys. The main halls of Korean palaces can be seen as buildings that were built with the regulations of the day in mind, making them excellent research subjects when studying the anssolim technique.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main halls that were studied, anssolim was applied most to main space (eokan) columns, then lessened for peripheral columns. 2. The largest second-floor cheoma columns were placed inward in the eokan, then became smaller as with the peripheral columns. In the case of the eokan, the column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nssolim. 3. The second-floor cheoma column anssolim in the middle-floor main hall were generally a third or a quarter of the size of those on the first floor. As on the first floor, the largest anssolim were applied to the eokan columns, then became gradually smaller towards the periphery columns. 4. In the palace main halls, the largest anssolim were used for the eokan columns, and became smaller with the peripheral columns. This unique structure can be seen to be a Korean technique that deviates from the Chinese "Yingzaofashi(營造法式)" techniques.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only studies the main hall of Korean palace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 new light on the technological implications of the anssolim technique, and can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research into the history of technology. Although this type of data is difficult to extrapolate, it has been made as accurate as possible by minimizing the margin of error in the data for the palaces that were actually studied.

기둥 안쏠림 기법은 아직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관련 연구에 한계를 초래하고 있다. 선행 조사연구 자료가 희박한 상황에서 안쏠림 기법은 3차원적 정밀 실측조사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궁궐 정전은 제도를 준수해 세운 건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안쏠림 기법을 파악함에 적절한 대상으로 판단, 고찰하여 몇 가지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조사 고찰한 궁궐 정전에서 안쏠림은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크게 가해져 있고,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나 있다. 2. 중층 정전에서 층단주로 세워진 2층 처마기둥은 어칸에서 가장 큰 치수로 건물 안쪽을 향해 들여세우기 되어 있으며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들여세우기 치수가 작아지는 독특한 기둥배치 방식이 밝혀졌다. 이러한 2층 처마기둥 들여세우기는 어칸의 경우 1층 초석부터 2층 처마기둥 하단까지의 높이에 해당하는 안쏠림 크기에 따라 이루어져 있음으로 밝혀졌다. 3. 중층 정전에서 2층 처마기둥 안쏠림은 1층 처마기둥에 비해 대체로 1/3 내지 1/4 정도로 작게 적용되어 있음으로 고찰되었다. 안쏠림은 1층과 마찬가지로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크게 가하고,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게 감소시켜 적용하는 기법이 내재되어 있음으로 파악되었다. 4. 궁궐 정전에서 안쏠림은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큰 치수로 적용되어 있으며,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아져 수렴되는 독특한 기법이 고찰되었다. 이러한 안쏠림 기법은 송(宋) "영조법식(營造法式)"과 차별되는 한국건축 고유 기법일 가능성이 있음으로 점쳐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궁궐 정전을 대상으로 한정적인 고찰에 그치고 있으나, 고건축 기둥 안쏠림에 대해 기법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하였으며, 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 제한적인 일부 건물에 대한 고찰 결과는 보편성을 지니기 어려움을 인정하나, 직접 실측조사 작업을 수행한 궁궐 정전만을 대상으로 하여 정치한 고건축 기법분석에 대한 오차범위를 좁히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