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istorical Research of Archetype of Kyeong Ju Castle

경주읍성 성곽시설의 원형고증에 관한 연구

  • Kim, Hong G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Kim, Young Mo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김홍곤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김영모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 Received : 2010.03.15
  • Accepted : 2010.05.17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chetype of the Gyeongju Castle walls and the facilities around it to bring together previous studies and identify the specific scale and structure of the archetype.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verified the exact location and dimensions of the castle through an over-lay of land registration map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and registration maps from the present day, cadastral maps, and excavation records. Second, the dimension of the rampart and fort of the castle were discovered by combining and analyzing historical evidence, modern research data, historical site studi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maintenance records. Third,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yeojang (rampart sub-wall) formats in the Joseon Dynasty were used to examine the archetype of the yeojang. This study led to the discovery of the archetype of the Gyeongju castle yeojang in the early stage of King Munjong's reign (1451), and the archetype creat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16th century). And finally, although most of the rampart is not present, the structure of the castle can be estimated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and research materials modern and contemporary(excavation conservation field survey).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a archetype restoration plan for each site, to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toration projects.

본 연구에서는 경주읍성의 성벽과 성곽시설을 대상으로 그 간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고 구체적인 규모와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원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경주읍성의 위치와 규모를 고증하기 위하여 일제강점기 지적도 현재 지적도 현재 수지형도 발굴조사 유구 현황도를 도면중첩(over-lay) 한 결과 정확한 성곽유적의 위치와 규모를 확증할 수 있었다. 둘째, 문헌적 고증과 근현대의 연구사료 일제강점기의 유적조사 기록 보수정비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고증한 결과 체성과 치의 규모 및 구조를 고증할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여장규식과 관련 문헌기록을 통하여 여장의 원형을 고증한 결과 문종원년(1451)의 초기 경주읍성의 여장과 임진란 전후(16세기 경)의 경주읍성 여장의 원형을 추정할 수 있었다. 넷째, 성곽 유적 대부분이 멸실된 상태이나 경주읍성의 문헌적 고증과 근현대 연구 사료(발굴조사 보수 수리기록 현장조사)의 조사내용을 토대로 규모를 산정하고 구조를 추정하였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향후 복원정비의 기초자료로서 개별 유적의 원형복원도를 작성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