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Growth Environment of Chionanthus retusus Community at the Wansanchielbong in Jeonju

전주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지의 생육환경으로 본 자연유산 가치 분석

  • Kim, Yeon (Korea National Park Service, Gyeryongsan National Park Office)
  • 김연 (국립공원관리공단 계룡산국립공원사무소)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0.11.29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vegetation of the Chionanthus retusus Lindly et Paxton community at the Wansanchielbong in the Jeonju city to offer basic data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ecological management syste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pH of soil at the community was pH 5.69 and it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forest soil pH of Korea. But if the degree of pH will be down, it will be needed some more fertilization of Calcium. 2. The total average for contents of organism was 4.98%. And the nitrate - nitrogen content(mg/kg) of A, B, C, D quadrat was 20.29%, 28.87%, 7.65%, and 23.3% respectively. And there were good condition except quadrat C which was contaminated by amount of earth and sand. 3. The flora of the Chionanthus retusus Lindly et Paxton community was listed as 60 taxa; 37 families, 50 genera, 47 species, 10 varieties and 3 forms. The average appearance species of each Quadrat were A sector 30, B sector 26, C sector 19 and D 19 taxa respectively. 4. Surveyed woody plants in the community were as follows : Chionanthus retusus, Zelkova serrata, Quercus variabilis, Cornus walteri, Robinia pseudo-acacia and those were mixed status. And Chionanthus retusus, Zelkova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Albizzia julibrisin, Cudrania tricuspidat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were mixed in mid layer trees. Herbaceous plants were founded such as Chionanthus retusus, Zelkova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Grewia parviflora, Rosa multiflora, Trachelospermum asiaticum was dominant with 35~64% in the ground cover, and Commelina communis, Calamagrostis arundinacea, Dryopteris bissetiana, Lilium lancifolium were founded also. 5. The importance values of Chionanthus retusus was 40.2% in the quadrat A1, 50.2% at quadrat A, 50.0% B1, 45.2% B2, 22.4% C1, 73.6% C2, 33.2% D1 and the total average of I.V. was 44.9%. 6. The average height of surveyed Chionanthus retusus was 5.7m and the average DBH was 12.4cm. The number of trees higher than 2m were 107 and the number of trees lower than 2m were 63. The total numbers of Chionanthus retusus were 170. 7. The age of surveyed Chionanthus retusus were analyzed 42 thru 87 years old and that of Zelkova serrata were 42, Quercus variabilis were 60, Quercus aliena were 48, Robinia pseudo-acacia were 40. 8. The number of trees with DBH 40 through 50cm were 6, and that of 30~39cm were 3, and that of 20~29cm were 16, so the total number that was over 20cm was 25. And there were 70 trees under 10cm of DBH and 63 seedlings. It will be very important data to conserve the habitat that the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Chionanthus retusus Lindly et Paxton community at the Wansanchielbong was stable, and sustainable monitoring will be needed. Now that community is nurse forest of Jeonju City but more positive preservation plan will be needed and assigning monument of city or province also be necessary.

본 연구는 전주시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 군락지의 토양환경 및 식물상 그리고 식생구조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 이를 토대로 현재 시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현재의 자연유산적 가치를 제고하고자 시도되었다. 전주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지의 토양산도는 pH 5.69였으며, 유기물함량은 평균 4.98%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생과 식물상을 볼 때 비록 단위 규격은 월등한 규모는 아니지만 수고 2m 이상의 이팝나무 개체수는 107그루에 이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고 2m 이하의 관목과 치수는 63그루가 확인되는 등 순수 단일 군락으로서의 종조성을 보이고 있는 점도 매우 주목할 만하다. 뿐만 아니라 어린 치수에서부터 거의 노거수로 분류되는 개체까지 다양한 영급의 수목이 함께 자생하는 것으로 보아 지속가능성 또한 매우 높은 실정이다. 그리고 이팝나무가 자생하는 완산칠봉은 역사적 순교지이기도 하며 전주십경 중 하나인 곤지망월(坤止望月)의 주대상으로 서의 역사성도 함께 간직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심지내 자생 희귀 수종인 이팝나무가 안정된 군락을 이루고 있음은 국내에서 그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도심내 한복판에 존재하기 때문에 교란과 훼손의 위협은 물론 토지이용의 요구 또한 지속적으로 받고 있었기 때문에 현재 전주시 보호림의 지정 차원에 머물 것이 아니라 장차 최소한 시 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적극적인 보호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 조사 자료가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지의 합리적인 보전 및 생태적 관리방안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준, 심경구, 하유미(1997). 한국 자생 때죽나무의 조경수 이용을 위한 번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2): 9-19.
  2. 김갑태(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23-232.
  3. 김무열(2004). 한국의 특산식물. 서울: 솔과학.
  4. 김사일(1997). 새로운 조경수 III 이팝나무. 서울: 조경수.
  5. 김종원(2004). 녹지생태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6. 농촌진흥청(1988). 토양화학분석법-토양미생물 실험. 농업기술연구소.
  7. 민병욱(1981). 서울 양동구역 도시공원 계획 제안. 한국조경학회지. 9(2): 19-46.
  8.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서울: 일조각.
  9. 박수현(2001).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보유편. 서울: 일조각.
  10. 변무섭(2003).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유역의 식생구조 분석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1): 25-33.
  11. 송광섭(2001). 인공위성영상의 식생지수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녹지량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양정기(1997). 이팝나무 주요 외부형태 및 화분형태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영남, 심기환(2003). 이팝나무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학술대회지. 110.1-110.
  14. 이영남, 정창호, 심기환(2004). 이팝나무 잎으로부터 항산화 및 항갈변물질의 분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9): 1419-1425.
  15.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16. 임원현, 김용수(2005). 이팝나무의 잔존형태와 문화적 의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3): 25-36.
  17. 전주문화원(2001). 지명으로 보는 전주 100년.
  18. 최송현(1996). 산림생태계의 환경영양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녹지의 자연성 평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한국자원식물연구소(1989). 한국식물대보감 하권.
  20. 환경부(1995). 환경비젼21. 환경부.
  21. 환경부(2001).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생태계 지표 개발. 환경부.
  22.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einer Vegetationskunde. Springer, 3. Auflage. Wien.
  23. Curtis, J. T. and R. P. Mcl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d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4. Dierschke, H.(1994). Pflanzensoziologie Grundlagen und Methoden. Verlag Eugen Ulmer Stuttgart.
  25. Lawrence G. H. M.(1963). Taxonomy of vascular plants.
  26. Michalel A. Dirr(1990).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27. Pfadenhauer, J.(1993). Vegetationsokologie. -Ein Skriptum-, IHW- Verlag.
  28. Rehder, A.(1974). Manual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29. http://earth.google.com
  30. http://www.ch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