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erpretation of Symbols in Water Gardens of Old Palaces - Based on the Archetype Theory of Jung -

융(Jung)의 원형론의 관점에서 본 궁궐 수공간의 상징성 - 공간구조와 디테일에 나타난 상징의미를 중심으로 -

  • Yoon, Mi-B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Kim, Han-Ba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윤미방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한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0.09.09
  • Accepted : 2010.09.28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unified examination of apparently quite different gardens in terms of Carl Jung's psychological concepts such as Archetypes, Individualization, and a natural tendency towards balance or wholeness. In Jung's psychological framework, Archetypes are innate, universal prototypes for ideas and function as the first original models upon which all other similar persons, objects or concepts are derived, copied or patterned. Jung proposes that Individualization be achieved through a natural tendency towards balance, especially the balance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This paper deals with three gardens, each of which represents a distinct cultural region: Bu-Yong Ji(芙蓉池) at the Changdeok Palace(Oriental), the Patio of the Lions at the Alhambra(Islamic), and the Fountain of Apollo at the Versailles Palace(Western). It is argued that all of three have in common a natural tendency towards balance and symbolize mandala, the archetype of wholeness. Bu-Yong Ji is in the form of quadrangle which embodies Yin and Yang. In the Patio of the Lions, the basin at the center and the four channels, which symbolize the waterway of the Garden of Eden and the four rivers in Paradise respectively, a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quadripartite composition. The overlapped circle and rectangular shaped pond of the Fountain of Apollo also represents mandala. Symbols representing the same archetype can vary from culture to culture. This explains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ardens with respect to specific aspects of external forms. In other words, an archetypal image can give rise to various forms in different cultures, and thus quite different mediums of design or design details may be developed. In conclusion, the three gardens give us a good example as to how an archetypal image can be expressed in different ways from culture to culture and how seemingly different design details can be analyzed in a unified way.

융은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여 자신의 전체성을 이루는 것이 곧 자기정체성을 갖는 것이라 했는데, '전체성' 즉 자기중심의 균형을 갖게 하는 능력이 원형의 기능이다. 원형은 각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상징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다른 문화권에 조성된 정원들을 분석하여 각각의 정원에 내재된 관념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정체성을 이루고자 하는 원형의 기능을 갖는지를 검토하고, 이에 따른 원형의 표상이 문화권에 따라 어떻게 정원에서 표현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상지를 각 문화의 특성이 뚜렷이 구별될 수 있는 동양문화의 창덕궁 부용지(芙蓉池), 이슬람문화의 알람브라궁 사자의 정원, 서양문화의 베르사유궁 아폴로 분수로 선정하여, 각 정원을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정원 모두 자기중심 조절기능의 '균형 조화'와 인간을 보호하는 '수호신' 그리고 영생을 의미하는 '생명과 창조'의 원형을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부용지는 음양사상을 내재한 방지원도의 형태로, 사자의 정원은 이슬람 천국의 네 개의 강을 상징하는 십자형 수로와 에덴동산 물줄기를 상징하는 수반이 중심과 4분(分)의 형태로, 그리고 아폴로 분수는 태양이 가진 생명력의 상징이 원형(圓形)과 4각형이 중첩된 연못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자기중심의 균형과 조화의 원형이 만다라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아울러 생명의 우주론적 사상이 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각 정원에 내재한 관념은 모두 공통적인 원형을 갖고 있고, 이를 조성한 공간적 성격 역시 물을 주제로 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각 정원이 뚜렷하게 서로 다른 독특한 외형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은 정원에 내재된 관념이 각 문화에 따라 고유한 사상으로 분화되고 이를 표현하는 공간구조와 디테일이 그들 문화에 따라 고유의 장소정체성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원형이 각 문화에 따른 관념을 통해 그 상징성을 드러냈고, 상징은 공간구조와 디테일에 의해 각 문화의 정체성을 표현했으며, 원형이 발현된 정원은 인간의 정신적인 균형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미래(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2. 김연희(2007). 조지 발란신의 아폴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윤돌(2008). 우리 궁궐 산책. 서울: 도서출판 이비컴.
  4. 이규목(1988). 도시와 상징. 서울: 일지사.
  5. 이부영(2009).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6. 이상석(2006). 조경디테일. 파주: 도서출판 조경.
  7. 이윤기 역(1996). 인간과 상징. Jung. C. G., Man and His Symbols. 서울: 도서출판 열린책들.
  8. 이재실 역(1998). 이미지와 상징. Eliade Mircea, Images et Symboles. 서울: 까치글방.
  9. 정재서, 전수용, 송기정(2008).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0. 정재훈(1996). 조선대의 조경-궁궐조경,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pp. 105-175.
  11. 진교훈(2007). 인격.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2. 진상철(2007). 시문과 기문을 통해 본 창덕궁 원유의 유락행태와 경관.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파주: 도서출판 조경.
  13. 최기수(2008). 신화의 측면으로 본 정원의 조성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38-48.
  14. 최재훈(2009). 안달루시아와 이슬람 건축, 지중해 조형예술. 파주: 이담. pp.285-314.
  15.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2002a). 원형과 무의식. Jung. C. G., Archetyp und Unbewu$\beta$tes. 서울: 솔출판사.
  16.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2002b). 상징과 리비도. Jung. C. G., Symbol und Libido. 서울: 솔출판사.
  17.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2008). 인간의 상과 신의 상. Jung. C. G., Menschenbild und Gottesbild. 서울: 솔출판사.
  18. 한국조경학회(1996).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19. 홍순석, 정연학, 최은수, 천진기, 박호원(2001). 전통문화와 상징. 용인: 강남대학교 출판부.
  20. Cadwell, Michael(2007). Strange Details. Cambridge: The MIT Press.
  21. Francis, Mark and Hester Randolph T.(1990). The Meaning of Gardens. London: The MIT Press.
  22. Garrett Bauman, M.(1992). Ideas and Details. Orlando: Harcourt College Publishers.
  23. Hattstein, Markus and Peter Delius(2004). Islam: Art and Architecture. Koln: Konemann.
  24. Hoog, Simone and Meyer Daniel(1995). Versailles. Art Lys Publishing.
  25. Kirkwood Niall, G.(1999). The Art of Landscape Detail.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26. McLeod, Virginia(2008). Detail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London: Laurence King Publishing Ltd.
  27. Norberg-Schulz, Christian(1996). The Phenomenon of Place. Theorizing a New Agenda for Architectur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8. Neil, Parkyn(2000). Wonders of World Architecture. Thames & Hudson.
  29. Ogrin, Dusan(1993). The World Heritage of Gardens. New York: Thames and Hudson Inc.
  30. Pinder, Angi and Alan(1990). Beazley's Design and Detail of the Space between Buildings. London: E. and F. N. Spon.
  31. Ruggles, D. Fairchild(2000). Gardens, Landscape and Vision in the Palaces of Islamic Spain.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32. Schinz, Marina(1985). Visions of Paradise. New York: Stewart, Tabori & Chang,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