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전통주택의 색채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민속촌 양반가 22호와 북경 사합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Hous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 Focused on the Korean Folk Village Upper-class No.22 and Beijing Si-He-Yuan -

  • 여화선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
  • 서주환 (경희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주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Yeo, Hwa-Sun (College of Art & Design, Kyunghee University) ;
  • Suh, Joo-Hwa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 Zhu, Li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투고 : 2010.07.06
  • 심사 : 2010.09.20
  • 발행 : 2010.09.01

초록

본 연구는 한국민속촌 양반가와 중국 북경의 사합원(四合院)을 대상으로 Munsell Conversion을 기준으로 색채분석을 시도하여, 양국의 도장재료나 기법상 표현된 전통 주택의 색채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동양사상의 중심축은 음양오행사상으로, 이것은 종교와 풍수, 그리고 우주의 질서 등에 따라 모든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음양오행사상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정량적 색채 분석을 시도한 결과, 전체적으로 색상에서는 양반가가 Y, YR계열과 무채색에 집중해 있는 반면 사합원은 R, GY계열이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한편 전반적으로 명도차는 중국이 낮으며, 한국보다 중국은 고채도의 이용 빈도가 비교적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 문화적 선호사상의 영향으로 R계열 색상이 많이 나타나 있는 중국의 전통주택에 비하여 오방색의 영향을 많이 보이지 않았던 한국의 양반가는 소박한 색채미가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한국과 중국의 공히 Y, R, YR계열의 색상에 대한 선호경향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Korean Folk Village and Beijing Si-He-Yuan, according to the color theory of hue, value and chroma of Munsell color system to demonstrat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raditional upper-class housing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s the neighboring countries sharing very similar culture and philosophy which owe to the continual communic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e history. The Obangsaek which is derived from the thought of five-elements profoundly and deeply impact on the color selection of traditional housing in both countries.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otographs, it was found that: 1. The commonly used colors in Korea are Y, YR and neutral color, but in China, people usually used R and GY, especially the high chroma red in Beijing Si-He-Yuan was used as a symbolic color. 2. The chroma preference of traditional housing reveals that people in China used to apply the polychrome and various brightness, on the contrary, the color of low chroma and high lightness were used to be applied in Korea which can give the sense of simplicity and tranquility. 3. Red, one of the Obangsaek affects the color characteristic of Beijing Si-He-Yuan critically but scarcely impact on the color characteristic of Korean Folk Villag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미나. 조성기(2002). 한국 중국 일본의 경계의식에 따른 주거공간의 경계구조. 대한건축학회지. 18(1): 123-131.
  2. 최장순(2005). 중국 사합원의 생성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논총건축학회지. 7(1): 112-120.
  3. 김선희, 장태현(2004). 한.중 전통주거에서의 담장 특성 비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4-37.
  4. 서묘묘(2006). 중국인 한국인 조선족의 전통색채에 대한 인식의 비교. 한국색채디자인연구. 4(2): 34-41.
  5. 권영걸, 김내리(2005). 한국 중국 일본 삼국에서 적색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9(2): 21-36.
  6. 최미영, 심영와(2006). 중국 시장의 지역별 색채 선호 및 색채 연상 비교. 한국색채학회지. 20(3): 1-13.
  7. 박영순, 신인호(1998). 한국 전통주택 실내공간의 색채특성. 한국색채학회지. 11(1): 77-87.
  8. 문대성(2009). 한국인의 이상향 이해를 위한 전통색채의 유심적 가치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지. 10(3):169-179.
  9. 안진의(2008). 한국전통색연구 1: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전통색채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22(1): 109-120.
  10. 정은숙, 김학범(2006). 경관에 활용된 전통색채와 문양. 한국색채디자인연구. 2(3): 61-72.
  11. 홍청웅, 김정문(2005). 한.중 상류주택의 주거공간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129-140.
  12. http://www.koreanfolk.co.kr/folk/house(한국민속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