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을 통해 본 고려중기 퇴식재(退食齋) 원유와 조경문화

Toesikje Garden and Landscape Culture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as Viewed through 'Dongkukesangkukjip'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투고 : 2010.04.22
  • 심사 : 2010.06.21
  • 발행 : 2010.06.01

초록

고려 중기 무신인 기홍수의 저택 퇴식재 경관을 읊은 시문 10여편이 수록된 '동국이상국집'을 분석, 고찰하여 당시 상류계층이 향유했던 원유 및 조경 문화적 특징을 추적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식재'의 가주(家主)기홍수와 "퇴식재팔영"의 제영자 이규보는 8개의 경물(景物)(팔영(八詠))을 명명하여 <팔영 또는 팔경문화>의 대중적 향유개념을 사적 향유개념으로 재생산시킨 우리나라 최초의 인물로 평가된다. 둘째, 퇴식재 원유의 공간구성 체계는 산경지소(仙境之所)를 구축하여 소요유(逍遙遊)를 즐기고, 미래를 희원하며 생성-풍요-초월-회귀로 나아가는 기승전결의 경관짜임을 추적할 수 있다. 셋째, 원경(元景)(퇴식재), 동경(洞景)(영천동), 청경(淸景)(척서정), 명경(明景)(독락원), 진경(眞景)(연묵당), 시경(始景)(연의지), 영경(靈景)(녹균헌), 현경(玄景)(대호석)의 경물구성 체계는 팔채지경색(八采之景色)의 상징적 우주관이 함축되어 있으며, 건물(동(棟))과 뜰(정(庭))이 교차하며 음양의 접합과 같은 상화(相和)원리가 추출된다. 넷째, 원유에는 재(齋), 당(堂), 간(軒), 정(亭)이 도입되었고, 기화이목과 진금기수, 가산(假山)과 괴석 등 수목석(水木石) 및 동물 요소가 다채롭게 활용되고 있다. 다섯째, 퇴식재 원유에서는 신선지경(神仙之境)을 경영하며 유상곡수연회를 즐기고, 수심양성을 사유하며 소요유를 즐기는 '유(遊)와 식(息), 그리고 악(樂)'의 풍류미학을 발견하게 된다. 여섯째, 원유에는 부시(俯視)경관을 즐길 수 있는 축경형 정원을 조성하였고, 원경(遠景)을 차경하며, 은유지소(隱流之所)를 경영함은 물론 이상향을 추구하는 심상경관(心象景觀)의 향유 양상이 표출된다.

In reviewing 'Dongkukesangkukjip(東國李相國集)' a selection of prose and poetry describing Toesikje, the house of Kee Heung-soo, a military official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the outcome of the study intended to infer garden scenery and landscape culture managed and possessed by high society at that time is outlined as follows. First, Kee Heung-soo, the owner of the house and Lee Kyu-bo, the author of Toesikje Palryeng(退食齋八詠) are thought to be those who first designated the 8 scenic points and recreated the concept of public enjoyment of into the concept of personal enjoyment in Korea. Second,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Toesikje garden is presumed to be in the Gee-Seung-Jeon-Gyul(introduction-development-turn-conclusion) style in which a fairyland is built to enjoy a free and peaceful life, while anticipating coming days and pursuing creation-prosperity-transcendence-return. Third, the viewpoint structure of the scenery Wongyeong(Toesikje), Donggyeong(Youngcheondong), Cheonggyeong(Cheokseojung), Myunggyeong(Dokrakwon), Jingyeong(Yeonmukdang), Sigyeong(Yeoneuiji), Yunggyeong(Nokgunheon), and Hyungyeong(Daehoseok) contains a symbolic universal vision of Palchejigyeongsek(the 8 scenic points) which incorporates Samwon(heaven, earth and water) and Obangwi(orientations), and the harmonization principle of the scenic points where the building and garden are harmonized. Fourth, Je, Dang, and Heon, Jeong(齋, 堂, 軒, 亭) are introduced to the garden, and Geehwayeecho, Jingeumgeesoo, Gasan and Goeseok(stone) were used in a variety of way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of Shinseongyeong and enjoyment of Yoosanggoksu events, with the study and seeking of perfect knowledge and discipline, wandering and rest led to a sublime appreciation of aesthetic beauty and divine glory. Sixth, a miniature garden was built to enjoy the view from above, together with the view in the distance, and a culture of secluded living, along with scenery expressing the heart's desire for Utopia was induc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조, 김경란(1991). 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9(2): 27-36.
  2. 권석환, 김동욱, 김병국, 노재현, 손오규, 심우영, 안장리, 여기현, 이민홍, 이상주, 이석해, 이행렬, 정유선(2004). 한중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서울: 이회문화사. p.2.
  3. 김동욱(2004). 고려후기의 삼척죽서루팔영. 서울: 이회문화사. pp.261- 262.
  4. 김영모(2007). 시 짓기와 원림 조영론,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경기: 도서출판 조경, pp.247-248.
  5. 노재현(2009). 소상팔경, 전통경관 텍스트로서의 의미와 결속구조. 한국조경학회지. 37(1): 100-119.
  6. 노재현, 신상섭(2007). 팔경 구조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 조망권역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11-23.
  7.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2009). '비해당사십팔영' 출현식물이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에 미친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1-12.
  8. 동아대학교 고전연구실(1982). 역주 고려사.
  9. 민경현(1991). 한국정원문화; 시원과 변천론. 서울: 도서출판 예경.
  10. 민족문화추진회(1969). 동문선 6권, pp.214-216.
  11. 민족문화추진회(1979). 국역 동국이상국집.
  12. 박경룡(2009). 살곶이벌 箭串坪에 대한 고찰. 국사편찬위원회. 서울지회 사료조사자료.
  13. 박선규(1998). 산수화와 그 정신. 서울: 도서출판 신원, pp.11-44.
  14. 박연호(2004). 16세기 이전 원림문학의 공간특성연구. 개신어문연구. 21: 81-108.
  15. 백윤수(2005). 원림론에 미친 화론의 영향. 미학. 41: 13.
  16. 신상섭, 노재현(1998). 경관정체성 향상을 위한 전주팔경의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26(4): 25-35.
  17. 심경호(1995). 국토산하를 노래한 한국한시의 미학적 전통에 관하여. 한국한문학연구. 18: 78.
  18. 아세아문화사(1972). 고려사 영인본.
  19. 안장리(2002). 한국의 팔경문학. 서울: 집문사. pp.43-282.
  20. 안휘준(1988). 한국회화의 전통. 서울: 문예출판사. p.166.
  21. 윤국병(1978). 동양조경사. 서울: 일조각
  22. 윤영활(1985). 고려시대 정원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4(1): 71-78.
  23. 윤영활(1987). 高麗時代의 庭園構造와 配植에 關한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윤영활(2009). 고려시대 석가산의 시원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0-18.
  25. 이규보(1241 이후). 동국이상국집 총간.
  26. 이한길(2009). 김극기의 경포대 한시연구, 경포대와 경포호의 문화 산책. 서울: 새미. pp.90-91.
  27. 장정룡(2002). 한송정곡 연구. 강원도민속연구. p.189.
  28. 전경원(2006). 소상팔경시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맥락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 대우학술총서. 서울: 민음사.
  30. 정민(2007).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발견.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221-251.
  31. 주남철(2009). 한국의 정원.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32. 진상철, 이원호(2009). 동양조경문화사 고려시대 편. 서울: 대가출판사. pp.113-118.
  33. 최기수(2004). 자연에서 얻는 삶과 지혜, 팔경과 구곡.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33-138.
  34. 최진원(2004). 팔경과 구곡; 한중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서울: 이회출판사. p.9.
  35. 한국고전번역원.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번역본.
  36.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대가출판사. pp.113-118.
  37.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7a2955a
  38.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05d1168a
  39.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
  40. http://osj1952.com.ne.kr/interpretation/bgomunjinbohojip/dl/120.htm
  41. http://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