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gnition of Residents in Gangwon-do Natural Forest Revitalization Study -Focusing on Community Awareness-

주민인식을 통한 강원도 자연휴양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주민 인식중심으로-

  • 이제용 (강릉원주대학교 지역개발학과)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ill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n villages adjacent to recreational areas in natural forests with the goal of creating a forest development plan. The area of study has been limited to th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the twelve adjacent villages around the area. The collected data used a SPSS. 12.0 frequency and cross, t-test and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To questions regarding increase in income and employment due to recreational areas in natural forests, there were some in all three areas that responded that it did not contribute to increases in income or employment. In all areas, there were respondents who think that these recreational areas do not help increase awareness of their nearby towns. Facilities, in order from most used to least used were tourist sites, lodgings and then food and meal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ustomers in all areas was low with reasons being low quality of goods, not knowing the village(s) well, a lack of specialty items, and poor roads.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a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이 인접마을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민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휴양림이 나가야 할 발전방안을 이끌어 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지역은 강원도 내 국립자연휴양림으로 한정하고, 이들 휴양림에 인접한 지역 마을 12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를 이용하여 빈도, 교차, t-test, ANOVA 분석 실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연휴양림으로 인한 소득증대와 고용효과를 묻는 질문에 세 지역 모두에서 소득증대와 고용창출에 기여하지 못했다고 응답하였다. 모든 지역에서 휴양림이 인접지역마을의 인지도 영향 향상에 도움이 안됐다고 인식 있었고 휴양림 인접마을에서 이용된 주요시설로 관광지, 숙박시설, 농산물 등의 순으로 꼽았으며 이용시설만족도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만족도가 낮았으며 불만족 이유로 낮은 상품가치와 마을소개부족, 특산물부족과 낙후된 도로 등을 지적했다. 결론에서는 도출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발전방안을 제시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