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Validation of Leadership Curriculum in Education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의 설계 및 검증

  • Received : 2010.03.10
  • Accepted : 2010.04.20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Leadership education is part of the goal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of computer science.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effort on leadership curriculums and programs specially designed for the gifted of computer science by reflecting their characteristics. Thus this paper was conducted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s of leadership for the gifted of computer science as follows:First, common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of computer science an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analysis. Then basic data were selected helpful to choose educational contents of leadership for the gifted of computer science. Second,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previous studies to find common elements. By defining relations between the gifted of computer science and leadership,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when choosing educational contents. Third, educational contents of leadership for the gifted of computer science were selected and designed based on the leadership elements develop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05). Fourth, leadership activity logs and reading materials were developed of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of computer science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ir leadership. And fifth, Delphi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validity of the leadership activity logs and reading materials developed in the study in two sessions; the first one tested the overall desig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second one di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activity logs and reading materials.

우수한 정보과학분야 인재의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하지만 아무리 정보과학분야의 인재가 지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활용하여 첨단이론을 정립하고 정보통신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할 지라도 리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정보과학영재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재의 지적 능력 및 창의성 신장과 더불어 이제는 정보과학영재의 리더십 신장에 대한 관심과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보과학영재교육에 있어 리더십 교육은 교육목표로서 포함되어 있으나 그동안 정보과학영재의 특성을 반영한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별도의 리더십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과학영재의 특성을 반영한 리더십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본 논문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정보과학영재의 특성과 교육목표에 대한 기존연구와 리더십 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한 시사점을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과정 설계 시에 적용하였다. 또한 설계된 교육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선정한 후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 (2008). 정보 영재를 위한 온라인 학습 도구 평가 준거 개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 김미숙, 이재호 (2005). 정보과학 영재교육과정. 수탁과제 CR 2005-52-1.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3. 김미숙, 전미란 (2005).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I: 영재 리더십의 사회적 기대와 구성요인 분석.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4. 김미숙, 박효정, 유효현, 전미란, 박춘성 (2006).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II :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5. 나동섭, 이재호 (2001).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분야 정의.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378-379.
  6. 배기택, 이재호 (2009).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교육.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61-166.
  7. 백기복 (2000). 이슈리더십: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산업교육연구, 7, 25-38.
  8. 이길복, 전우천 (2003). 초등학교 정보영재를 위한 창의성 개발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8(1), 404-412.
  9. 이재호, 이재수 (2006). 초등정보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의 개발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6(1), 81-100.
  10. 이재호 (2009). 정보과학 영재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개발. 한국교육개발원 제9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 연수[공통․정보과학]. pp.201-222.
  11. 조선일보 2004. 12. 24일자. 시론: 수월성 교육, 올바른 방향이다(박성익).
  12. 한선화, 강승희, 유순화 (2005).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리더십 기술과 사회성숙도의 비교분석. 청소년학연구, 12(1), 277-798.
  13. Dormody, T. J., & Seevers, B. S. (1994). Predicting youth leadership and life skills among FFA members in Arizona, Colorado and New Mexico.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35(2), 65-71. https://doi.org/10.5032/jae.1994.02065
  14. Karnes, F. A., & Beane, S. M. (1995). Leadership for students: A practical guide for ages 8-18. Waco, Texas: Prufrock Press.
  15. Parnes, S. J. (1988). State of the art processes for encouraging innovative excellence. east aurora. NY: D.O.K.
  16.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17. Sisk, D. A. (1993). Leadership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 and talent. Oxford: Pergamon Press.
  18. Stogdill, R. M. (1974). Handbook of leadership: A survey of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19. Treffinger, D. J. (1975). Teaching for self-directed learning: A priori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he Gifted Child Quarterly, 21(1), 4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