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n the Effect of Coal-ash as Landfill Cover Material of Mono-Layer Cover System through the Field Scale Test

현장 실험을 통한 단층형 매립복토시스템의 복토재로서 석탄회의 효과 검토

  • Yun, Sung-Wook (Dept. of Agri. Engrg., GNU) ;
  • Kang, Sin-Il (Dept. of Agri. Engrg., GNU) ;
  • Jin, Hae-Geun (Dept. of Agri. Engrg., GNU) ;
  • Kim, Pil-Joo (Dept. of Earth & Enviro. Sic (Ins. of Agri & Life Sci), GNU) ;
  • Kim, Soon-Oh (Dept. of Enviro. Biotech. (Ins. of Agri. & Life Sci.), GNU) ;
  • Yu, Chan (Dept. of Agri. Engrg., Gyeongsang National Univ.(Ins. of Agri. & Life Sci.))
  • 윤성욱 (경상대학교 농공학과) ;
  • 강신일 (경상대학교 농공학과) ;
  • 진혜근 (경상대학교 농공학과) ;
  • 김필주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농과원)) ;
  • 김순오 (경상대학교 환경생명화학과(농과원)) ;
  • 유찬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0.04.26
  • Accepted : 2010.07.05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and suitability of the coal ash (bottom ash) to landfill final cover, field pilot-scale lysimet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mixture of loamy soil, bottom ash, and construction waste was placed as a cover material in lysimeter ($2m{\times}6m{\times}1.2m$) which were constructed with cement brick, and then volumetric water contents, pF value, and the quantity of runoff and seepage of treatment boxes filled with the mixture of loamy soil and the industrial by-products were monitored from July, 2007 to february, 2008. Among the cases tested, consequently, the case containing the mixture of bottom ash and loamy soil was most effective in plant growth and water retention ability.

기존의 최종복토시스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층형 복토시스템의 복토재로서 석탄회(저회)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현장대형토조시험을 수행하였다. 산업부산물의 관련 활용규정에 준하여 석탄회를 일반토사와 혼합하여 현장에서 설치한 대형토조에 채워 넣어 관측기간동안(2007년 7월~2008년 2월) 단층형 복토시스템의 복토재로 서 그 활용성를 일반토사만을 채운 처리구 그리고 일반토사에 건설폐기물을 혼합한 처리구와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토사에 석탄회를 적용시킨 처리구가 매립지의 복토재로서 우선시 되는 수분저류능력과 식물의 생육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순오, 김필주, 유찬 (2008),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단층형 매립지 복토시스템 개발을 위한 적용 타당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30권, 11호, pp.1075-1086.
  2. 박재현 (1997),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을 이용한 토양함수량의 측정", 한국 수자원학회지, 제30권, 제6호 pp.581-595.
  3. 유찬, 양기석, 류시창, 조병진, 안병관 (2003),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식생기반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대회, pp.219-222.
  4. 유찬, 윤용철, 안병관, 양기석 (2003), "산업폐자원을 활용한 농촌환경 복원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농촌계획학회 학술발표대회, 11권, pp.38-43.
  5. 이남훈 (1996), "21세기 폐기물 매립지의 역할", 1996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폐기물 매립기술개발 방향에 관한 심포지움, pp.37-56.
  6. 조인상 (1989), "토성 및 유효토심의 차이가 토양수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농사시험연구논문집, 31권, 1호, pp.6-13.
  7. 환경부 (2001), 폐기물관리법.
  8. 현재혁, 김민길 (2007), "폐기물 매립지 차수재 및 복토재의 신기술 동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9권, 1호, pp.3-7.
  9. Benson, C and Othman, M. (1993), "Hydraulic Conductivity of compacted clay Frozen and Thawed In Situ", J. of Geotech. Engr. ASCE, Vol. 119(2), pp.276-294.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3)119:2(276)
  10. Iyer, R.S. and J.A. Scott (2001), "Power station fly ash - a Review of value-added utilization outsid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Resources, Consevation & Recycling, Vol.31, pp.217-228. https://doi.org/10.1016/S0921-3449(00)00084-7
  11. K. Noborio (2001), "Measurement of soil wa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y time domain reflectometry: a review",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31, pp.213-237. https://doi.org/10.1016/S0168-1699(00)00184-8
  12. Manassero (2000), Solid waste containment systems, GeoEng 2000, pp.520-642.
  13. Shan, H.Y., & J.N. Meegoda (1998), "Construction use of abandoned soils", J. of Hazardous Materials, Vol.58, pp.133-145. https://doi.org/10.1016/S0304-3894(97)0012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