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etecting Effectiveness of a Homing Torpedo using Combined Discrete Event & Discrete Time Simulation Model Architecture

이산 사건/이산 시간 혼합형 시뮬레이션 모델 구조를 사용한 유도 어뢰의 탐지 효과도 분석

  • 하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선해양공학과) ;
  • 차주환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 이규열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및 해양시스템공학연구소)
  • Received : 2009.06.16
  • Accepted : 2009.09.0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Since a homing torpedo system consists of various subsystems, organic interactions of which dictate the performance of the torpedo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subsystems in order to obtain an optimized design of the overall system. This paper attempts to gain some insight into the detection mechanism of a torpedo run, and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parameters of a torpedo system. A database for the analysis was generated using a simulation model based on the combined discrete event and discrete time architecture. Multiple search schemes, including the snake-search method, were applied to the torpedo model, and some parameters of the torpedo were found to be stochastic. We then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orpedo’s detection capability according to the torpedo speed, the target speed, and the maximum detection range.

음향 탐지나 항적 탐지 등을 이용하여 표적을 추적하는 유도 어뢰는 개념 설계 단계에서부터 군 요구를 분석하고 군요구에 따른 어뢰의 개략 설계 사양 도출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이산 사건/이산 시간 혼합형 시뮬레이션 모델 구조를 적용하여 어뢰가 목적하고 있는 탐지 임무의 정량적인 달성 정도를 나타내는 탐지 효과도를 분석하였다. 어뢰의 탐지효과도 분석을 위해 초기 개념 설계 단계에서 주어지는 어뢰의 개략적인 설계 변수를 바탕으로 어뢰와 표적의 수학 모델을 설정하였으며, 이와 함께 이산 사건/이산 시간 혼합형 시뮬레이션 모델 구조를 적용하여 아 잠수함 모델, 어뢰 모델, 표적 모델을 구성하였다. 특히 어뢰 모델에는 유도 어뢰의 특성을 고려하여 탐색 운동 방법, 음향 탐지 방법 등을 적용하였으며. 각 모델을 구성하는 설계 변수에는 오차 모형을 반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어뢰가 표적을 탐지하는 과정에 대해 반복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설계 변수 변화에 따른 어뢰의 탐지 효과도를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방경운, 조선공정계획용 이산 사건과 이산 시간 혼합형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석사 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2006년.
  2. 윤현규, 어뢰 탐지 효과도 분석 기법 연구, 국방과학연구소 기술보고서, NWSD-519-960331, 1996년.
  3. 이규열 외, 수중운동체의 체계/부체계 기능 및 성능 시뮬레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복합 시스템 모델구조연구, 수중운동체 특화연구센터 SM-11과제 1단계 최종보고서, 국방과학연구소, TECD-413-050663, 2006년.
  4. 이성은, 잠수함 전투체계 설계, 함정설계특강, 서울대학교, 2008년.
  5. 차주환, 노명일, 방경운, 이규열, "조선 공정 계획의 수립완성도 향상을 위한 이산 사건 및 이산 시간 혼합형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17(4), pp. 71-80, 2008년.
  6. 하솔, 이규열, 이현진, 차주환, 오차 모델을 적용한 교전급 모델에 대한 어뢰 효과도 분석용 분산 시뮬레이션 S/W 프로토타입 개발, 서울대학교 선박설계자동화연구실 내부기술보고서, 2009년.
  7. 함승호, 차주환, 이규열, 박광필, 노명일, "이산 사건 및 역학기반 이산 시간 혼합형 모델링에 의한 잠수함의 잠항 부상 시뮬레이션", 2008년도 대한조선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창원, pp. 163-171, 2008년.
  8. 허성필, "통계적 메타모델을 이용한 어뢰의 탐지확률 분석", 한국경영과학회 1996년 학술대회논문집, 제2권, pp. 147-150, 1996년.
  9. 허성필, 홍우영, 박영일, "전술상황 및 어뢰 변수가 표적탐지 확률에 미치는 영향", 제 1회 해양 무기체계 발전세미나, 국방과학연구소, pp. 217-222, 1996년.
  10. Cho, D. Y., Son M. J., Kang, J. H., Lee, S. J., Cham J. H., Yoo, S. J., Lee, H. K., Lee, K. Y., Kim, T. W., and Ko, Y. S., "Analysis of a submarine''s evasive capability against an antisubmarine warfare torpedo using DEVS modeling and simulation", Spring Simulation Multiconference 2007, DEVS Integrative M&S Symposium (DEVS), Norfolk Marriott Waterside, Norfolk, Virginia, USA, pp. 307-315, 2007.
  11. EDS Defence Limited, THOR - Torpedo Engagement Simulation Model Commercial Version E2: Functional Specification, 1C07065/CE2/D1, EDS Defence Limited, 1993.
  12. Mjelde, A., A Homing Torpedo: The Effect of the Tactical Situation and the Torpedo Parameters on the Torpedo Effectiveness, Master Thesis, Navy Postgraduate School, 1977.
  13. Robinson, T., "ODIN - an underwater warfare simulation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Vol.1, pp. 672-679, 2001.
  14. Urick, R. J., Principles of Underwater Sound, 1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