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전력 사용에 따른 정박중인 선박의 $CO_2$ 배출 및 운항비용 절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s and Operating Costs of the Ship in Port by Shore Electric Power

  • 한원희 (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 임경선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 Han, Won-Hui (Division of Marine Engineering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Lim, Kyung-Sun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0.04.06
  • 심사 : 2010.06.24
  • 발행 : 2010.06.30

초록

최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국제적인 협력 또한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운 업계에서는 항내에서 유발되는 선박 기인 온실가스 배출량 중 탄소에 대한 배출량 감축과 선박운항 비용 절감을 위한 친환경 항만 체계 구축 방안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탄소 배출량 감축 및 친환경 항만 체계 구축의 기초 연구로 정박 중인 선박에 자체 생산 전력을 공급하는 대신 육상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운항중인 목포해양대학교의 실습선 새누리호를 대상으로 정박 중인 선박이 육상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환경적 비용적 효과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육상전력을 사용한 경우에 $CO_2$ 배출량은 약 32.5%가 감소되었고, 운항비용은 약 33%가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nations around the world are putting various efforts in many aspects to decrease greenhouse gas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urgently required. As part of these efforts, the shipping industry is working towords establishing "green parts" that reduce the carbon content of the greenhouse gases emitted in ports and can also decrease the operating costs. This study has tried to look for how to supply shore power instead of suppling ship's own generated power as a basic researches for reduction of carbon emissions and construction of "green parts" system. And in this paper, the training ship 'SAENURI' of Mokpo Maritime University under actual operation was selected to investigate for environmental and expens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_2$ emissions Mere reduced 34% and operating costs Mere reduced approximately 31% in case of using the shore paper.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무총리실(2008),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전략(안), pp. 1-8.
  2. 김승래(2009), 녹색성장을 위한 탄소세 도입방안, 재정포럼 5월호, pp. 17-27.
  3. 목포해양대학교 사무처(2009), 실습선 새누리호 2007.11.-2009. 10. 육상전력 사용량 및 청구서 요금, p. 1.
  4. 손효중(2006), 국제기후변화 레짐에 대한 비교연구 : 교토의정서와 아.태 신(新) 기후협약을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pp. 31-67.
  5. 오대균(2007), 기후변화협약과 우리의 대응방안, 국회도서관보, 제44권, 제4호, pp. 13-20.
  6. 외환은행, 고시환율(2009), p. 1.
  7. 이상중(2007), 화력발전소 입출력 특성계수를 이용한 순시 발전출력 대비 CO2 대기배출량 계산, 조명.전기설비학회, 제21권, 제5호, pp. 120-125.
  8. 이연상(2008), 쉽게 풀어보는 기후변화협약, 한울, ISBN : 9788946050259, pp. 38-53.
  9. 임남균(2008), 선박 전과정평가를 위한 실습선 배기가스 인벤토리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제1호, pp. 29-35.
  10. KESIS(2009), 에너지통계서비스, 석유시장분석, 석유제품 가격, 월별 석유제품가격, 싱가폴 현물, Bunker 180. 2007.11-2009.10, p. 1.
  11.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2006), IPCC NGGIP PUBLICATION, p.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