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료의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 변화추이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Unit Trend of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between 2000, 2003 and 2005

  • 투고 : 2010.07.15
  • 심사 : 2010.10.21
  • 발행 : 2010.10.30

초록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trend of carbon dioxide emission for direct and indirect areas by using inter industry relations table between 2000, 2003 and 2005 in the key building materials and component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terial and components for this study was selected in 20 industries of products such as sand, gravel, cement, concrete articles, rebar, and steel bar. Second, among the 20 selected key building materials, the group with the highest carbon-dioxide emission was shown in ready-mixed concrete, concrete articles, and primary aluminum good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to the units of carbon dioxide emission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the number of items which is changed in such as sustained increase or decrease over time was insignificant in carbon-emission change tren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윤규, 이강희(2001),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특성", 설비공학논문집 제13권 제9호
  2. 정보라, 이하식, 최영오, 이강희(2008),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제1권(춘계), pp 235-240
  3. 김종엽, 이승언, 손장열(2004), "건축물 건설단계에서의 에너 지소비량 및 $CO_2$ 배출량 원단위 산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0권 제10호 (통권 192호), pp 319-326
  4. 한용섭, 김상대(2005), "구조 계획 측면에서 본 구조 재료별 $CO_2$ 발생량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 창립 60주년기념 학술 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제1호(통권 49호), pp 203-206
  5. 장성문, 이강희, 노삼영, 이경민(2007), "공동주택 개보수에 따 른 건축자재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통권 제 5호), pp 801-804
  6. 이강희, 양재혁(2009),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와 이산화 탄소 배출원단위 산정 연구",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6호, pp 43-50
  7. 이강희(2003),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의 공종에 대한 LCA적용연구 - 에너지, 이산화탄소, 황화합물 등의 목록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19권 제2호, pp 2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