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사용도면 현황분석에 기반한 일반업무시설 실시설계도면 체크리스트 개선방안

Checklists for Construction Drawings of Office Buildings based on Working Drawing Analysis

  • 이범구 (한미파슨스 주식회사) ;
  • 정태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박형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구교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09.10.30
  • 심사 : 2010.05.12
  • 발행 : 2010.07.31

초록

현재 실시설계도면 작성과정에서 시간, 비용 등 제한조건으로 인해 실시설계도면 자체의 품질저하가 발생하고 있으며, 시공상세도는 표준화된 기준이 없이 임의적으로 작성되고 프로젝트 완료 후 대부분이 폐기가 되어 설계단계로 피드백 되지 않아 실시설계도면 품질저하의 악순환이 초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설계도면과 시공상세도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일반업무시설에 대한 기존 실시설계 체크리스트를 기본으로 공사현장에 요구되는 정보와 시공상세도를 반영하고, 설계자의 설계도면 구성 분류에 따른 검토항목과 시공자의 공사별 분류 방법에 따른 검토항목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시공성을 반영한 실시설계도면 체크리스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실시설계도면과 시공단계가 연계된 공사별 통합 체크리스트의 활용성을 위해 인덱스 매트릭스를 개발하였으며, 실무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Currently the quality of construction drawings is deteriorated due to restrictions on time costs allowed to the design phase. Moreover shop drawings are arbitrarily produced without the standard criteria, and cleared off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As a result, the information of produced shop drawings is not feedback to the design phase, and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on drawings become worse. This study proposes checklists that include information requested at construction sites and the shop drawings as well as the existing checklists for the construction drawings. The checklists integrate designer's check-items according to breakdown of drawings and contractor's check-items base don construction process. Index matrices of the integrated checklists is develop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hecklists, and validated through intensive interview with design and construction practition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예상 (2005), 미국의 설계경쟁력 어디에서 오나?, 보문당
  2. 이교선(1996)," 시공성 개선을 위한 설계 시공 접점의 정보", 건축, 제40권 6호, 대한건축학회, pp. 22-25
  3. 정대기, 김예상(1998)," 설계도서를 중심으로 한 설계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14권5호, pp. 363-370
  4. 정대용 (2000), 공사비용 절감을 위한 실시설계도면 체크리스트 평가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영호 (2006),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개선방안", 건설기술정보 통권 276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 조용훈, 이재훈, 이동렬 (1999)," 공사전 도면검토를 통해 본 건축실시설계 도면의 문제점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15권 12호, pp. 61-70
  7. 東京建築士會, (2003), 建築設計實務のチェックシ-ト, 彰國社
  8. 日本建築家協會, 2005, 建築實施設計圖書作成基準, 彰國社
  9. Russell, J. S, K. E. Swiggum, et al. (1994)," Constructability Related To TQM, Value Engineering, And Cost/Benefits",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8(1), pp. 31-45 https://doi.org/10.1061/(ASCE)0887-3828(1994)8:1(31)
  10. Fischer, M, 1997, "Characteristics of design-relevant constructability knowledg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3(3), pp. 253-260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7)123: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