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Crustal Displacement at Yangsan Using Precise Point Positioning

정밀절대측위를 이용한 양산지역의 지각변위 해석

  • 박준규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 Received : 2010.04.07
  • Accepted : 2010.04.21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Yangsan fault system is a large fault more than 170km and one of the important structures Geologically that has been create recently in the Korean Peninsula. Debates have been made incessantly and widely throughout the Yangsan fault system because it's a lot of earthquake record. In this study, GPS data that was received from Yangsan GPS station in were processed by the Precise Point Positioning and the movement velocity was calculated by the statistical process about the results, where is the fault zone. The results showed that Yangsan is moving by azimuth angle of $126^{\circ}$ and the velocity of 49mm/year. It is respected that this results will be utilized in basic data about geophysics.

양산단층은 한반도의 남동쪽에 위치한 길이 170km 이상의 대규모 단층이며, 지질학적으로 한반도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중요한 구조대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지진학적 관점에서 볼 때, 과거로부터 수많은 지진 기록이 존재하고 있어 활성단층의 여부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질자원 연구원의 양산 GPS 상시관측소로부터 수신된 GPS 자료를 정밀절대측위 방법으로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이용하여 양산상시관측소의 이동속도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양산지역이 방위각 약 $126^{\circ}$의 49mm/year 속도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단층지역의 지구물리 해석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묵, 박준규, 이최구, 이용욱 (2010), 온라인 GPS 자료처리 서비스의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 28권, 제1호, 한국측량학회, pp. 13-21.
  2. 김경수 (2009), 위성측지기준점의 정밀위치해석에 의한 지각변동 모니터링,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28-130.
  3. 김인수 (1992), 새로운 동해 성인모델과 양산단층계의 주향이동운동, 한국지질학회지, 한국지질학회, Vol. 28. No. 1, pp. 84-109.
  4. 박관동, 임형철 (2004), GPS 관측을 통한 한반도 서해안 지역의 해수하중에 의한 지각변위 검출 가능성 조사,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33-38.
  5. 신영홍, 박종욱, 박필호 (2006), 한반도 남부 모호면의 변형 구조, 한국지구과학회지, 한국지구과학회, 제 27권, 제 6호, pp. 620-642.
  6. 장해남, 이종윤 (2007), 우리나라의 지진현황 및 국외 지진피해 사례,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Vol. 45, No. 4, pp. 133-139.
  7. 조재명, 윤홍식 (2007), GPS를 이용한 한반도 지각변동 파라미터 계산,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77-80.
  8. Vy Quoc Hai. Lee, Y. W. and Kang, J. M. (2000), GPS 반복관측에 따른 캄로단층의 최근 지각변동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제 18권, 제 1호, 한국측량학회, pp. 19-23.
  9. Chough, S. K., Kwon, S. T., Ree, J. 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c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 Science Reviews, Vol.52, pp.175-235. https://doi.org/10.1016/S0012-8252(00)00029-5
  10. Dach, R., Hugentobler, U., Fridez, P. and Meindl, M. (2007), Bernese GPS Software Version 5.0, Astronomical Institute, University of Bern, pp. 183-195.
  11. Hamdy, A. M., Park, P. H., and Lim, H. C. (2005), Horizontal deformation in South Korea from permanent GPS network data, Earth Planets Space, Vol.57, pp.77-82.
  12. Jin, S., Li, Z. C., and Park, P. H. (2006), Scismicity and GPS constraints on crustal deformation in the southem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Geoscìence Journal, 10(4), pp. 491- 497. https://doi.org/10.1007/BF02910442
  13. McCarthy, D. D. (1996), IERS Technical Note 21: IERS Conventions, Central Bureau of IERS, Observatoire de Paris, p. 95.
  14. Smalley R. Jr, Ellis M. A., Paul J., and Van Arsdale R. B. (2005), Space geodetic evidence for rapid strain rates in the New Madrid seismic zone of central USA, Nature, Vol. 435, pp.1088-1090. https://doi.org/10.1038/nature03642
  15. Tnaka Y., Saita H., Sugawara J., Iwata K., Toyoda T., Hirai H., Kawaguchi T., Matsuzaka S., Hatanaka Y., Tobita M., Kuroishi Y. and Imakire T. (2007), Efficient Maintenance of the Japanese Geodctic Datum 2000 Using Crustal Deformation Models-Patch JGD & Scmí-Dynamic Datum, Bulletin of the Geographical Survey Institute, Vol. 54, pp. 4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