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Baduk Play Activity Upon a Child's Intelligence, Problem-solving and Delay of Gratification

바둑놀이활동이 유아의 인지능력, 문제해결력 및 만족지연능력에 미치는 효과

  • 김바로미 (명지대학교 바둑학과) ;
  • 조복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
  • Received : 2009.11.11
  • Accepted : 2010.02.01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the Baduk play activity upon a child's intelligence, problem solving and delay of gratification. 68 participants (36 from the test group and 32 from the regulation group) were selected from 5 year old children who attend two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for a pre-test and post-tes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Baduk play activity. The Baduk play activity was applied to the test group 3 times a week from the 3rd week of March, 2008 until the 3rd week of October, 2008. In this study, K-WPPSI, CPS and delay of gratification test were use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activity. As a result, it can be construed that the Baduk play activity gives children a more positive influence upon their activity and overall IQ,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delay of gratifi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 K-WISC-III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2. 김바로미. (2004). 아동바둑교육에 대한 학부모 의식조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채. (2002). 사고와 문제해결의 심리학: 인지의 이론과 적용. 서울: 박영사
  4. 김혜순. (2005). 유아의 인지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이 유아의 만족지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4(5), 741-743
  5. 김혜순. (2006). 유아의 만족지연능력 및 관련변인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단현국. (1991). 놀이의 의의. 서울: 대한교과서.
  7. 박주희. (2007). 구성놀이 질과 유아의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 K-WPPS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9. 박혜원. (2008). 웩슬러 지능검사의 이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 워크숍(중급). 한국아동검사연구회.
  10. 백기자. (2007). 바둑인의 뇌 기능 특성과 뇌 기능 및 기력 향상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신말예. (1994). 유아기 부모의 놀이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순례. (1977). 유아의 문제해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 활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숙재. (1988). 유아의 놀이와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연구논문집, 27, 203-218.
  14. 이영애. (1999). 문제해결. 이정모 외(편), 인지심리학의 제문제. 서울: 학지사.
  15. 전형미. (2000). 실험구성활동이 유아의 호기심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정수현. (2000). 바둑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고찰. 바둑과 文化, 서울: 바둑과문화.
  17. 정수현. (2005). 바둑기술의 논리적 이해를 위한 메타월리의 탐색. 바둑학 연구, 2(1), 1-17.
  18. 정수현. (2006). 대학생의 개념도 활용 바둑학습 및 바둑에 대한 사전지식이 지식습득과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조복희. (2007). 아동발달. 교육교학사.
  20. 한국갤럽. (2008, 7. 28). 조선일보, 1926, 자료검색일 2008, 8. 30, 자료출처 http://www.gallup.co.kr/gallupdb/news.asp?pagePos=5&selectyear
  21. 한미란. (1986). 유아의 욕구충족 지연행동에 관한 연구- 사회 경제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현연옥. (2005). 주의집중 놀이활동이 ADHD 성향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笠井浩二. (1992). 바둑을 두면 머리가 좋아진다. 서울: 민맥.
  24. Berk, L. E., & Winsler, A. (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NAEYC.
  25. Erickson, E. (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ton.
  26. Mischel, W., Shoda, Y., & Rodriguez, M. L. (1989). Delay of gratification in children. Science, 244, 933-937. https://doi.org/10.1126/science.2658056
  27. Parry, M., & Archer, H. (1975). Two to Five? A Handbook for Student and Teacher. Macmillan Education.
  28. Piaget, J. (1962). Play, Dreams and I Mitation in Childhood. New York: Noton.
  29. Rubin, K. H., Fein, G. G., & Vandenberg, B. (1983). Play. In Mussen, P. H.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pp. 693-774). New York: John Wiley & Sons.
  30. Smith, P, K., & Dutton, S. (1979). Play and training in direct and innovative problem sloving. Child Development, 50, 830-836. https://doi.org/10.2307/1128950
  31. Treffinger, D. J. (2000). Assessing CPS Performance.(3rd ed). Waco, Texas: Prufrock Press.
  32. Wechsler, D. (1967). Manual for The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New York: Psychological Corp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