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Parents'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Parenting Behaviors : Focusing o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 전주혜 (중앙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 ;
  • 박정윤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김양희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장영은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어성연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0.01.14
  • Accepted : 2010.03.18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purpose of study is the effects of parents' family-of-origin experience on their parenting behaviors of 260 parents with child(ren) aged between 3-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with higher monthly average income showed more frequent responsive parenting behaviors. Mothers with different age, income,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of their mother in the family of origin, and current family types showed different levels of limit-setting, intimacy, and responsivenss in their parenting. Second, both parents' experiences from their family of orgin were correlated their parenting behaviors. Thir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others were found to give their children more reasonable guidance if they experienced more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and more acceptance from their mothers, if they raise more than two kids, and if their family of origin was an extended type. Fathers who perceived higher family of health, more acceptance by their mothers showed more limit setting parenting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자(2007).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 및 자아분화와 부부갈등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소현(2005).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정서, 양육행동과 아동의 문제행동의 경로모형 분석 : 문제군과 일반군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정란(2005).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자(2003).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미라(2001). 부부친밀도에 미치는 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수연(2001).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순재(1996). 청소년의 기질 및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분화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태현 . 김경자(2004). 기혼 남녀의 원가족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6(1), 3-35.
  10. 김희주(1997).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도 및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도현심 . 김민정 . 박보경 . 황영은(2005). 아동이 지각간 부모의 양육행동과 남녀 아동의 공격성 및 친사회성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85-195.
  12. 문세민(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위축행동 및 우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문희선(1994). 어머니의 자아분화수준과 자녀양육태도와 관계-Bowen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성연(1995). 인간발달 I. 서울 : 과학교육사.
  15. 박성연 . 임희수(2000). 2-3세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관련된 변인들: 부모에 대한 애착표상과 및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1(1), 59-72.
  16. 박성연 . 전현진(1999).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153-169.
  17. 박주희(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과 관련된 어머니 양육목표, 양육행동, 또래관계 관리 전략.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손승희(2002). 어머니 양육행동 및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과 또래 유능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송기현(200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안지영 . 박성연(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0(1), 53-68.
  21. 오성심 . 이종승(1982).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연구 노우트. 서울 행동과학연구소, 의학, 19(3).
  22. 유은희(1991).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발달유형과 결혼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유은희 . 전춘애(1995). 모의 자아분화수준과 모자간의 갈등이 청년기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 137-153
  24. 이미숙(2005). 어머니의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슬기(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일 아버지 역할 갈 등과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종원(2002). 부부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 연구. 연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진선 . 정문자(2007).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부모역할만족도 및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자녀양육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5), 85-94.
  28. 이혜승(2000). 부모의 아동기 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장선웅(2008). 원가족 경험이 부부친밀감과 부모 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장혜자(2001). 영유아기의 어머니 양육행동에 대한 자녀세대의 지각. 한국영유아보육학, 25, 283-304.
  31. 전연진(2002). 삼세대 가족관계 경험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전현진(1996).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전효정(2003). 어머니-유아 애착의 세대간 전이의 매커니즘 : 어머니의 내적 실행모델과 자녀양육행동이 유아의 애착유형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3), 159-174.
  34. 정문자 역(1996).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Cater, B., & McGoldrick, M.(1989).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 :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35. 정문자 . 전연진 . 김진이(2004). 부모의 원가족 경험과 자녀 양육행동이 아동의행동문제에 미치는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2), 133-150.
  36. 정미경(2003).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적응.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정혜승(2000). 어머니 자신의 부모 애착 및 양육행동과 자녀 애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조소희 . 정혜정(2008).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기분화가 핵가족의 부부관계와 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873-889.
  39. 진달님(2008).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가족건강성 및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최경옥(2004).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기원(200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결혼만족도와 양육행동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최난경(2003).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진숙(2006) 부부갈등과 원가족과의 상관관계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최현미(1997). 원가족 척도 연구 :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하상희(2007).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간 전이.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허기순(2004). 어머니의 양육행동, 부부관계, 심리적 특성이 유아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Becker, W. C.(1964). Consequences of differen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 L. W. Hoffman(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N. Y.: Russell Sage Foundation.
  48. Belsky, J. & Isabella, R. A.(1985).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to the Family of Origin and Marital Chandge Following the Birth of a baby : A Retrospective Analysis. Child Development, 56, 342-349. https://doi.org/10.2307/1129724
  49. Belsky, J. & Vondra, J.(1993). Developmental origins of parenting :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factors. In Luster, T. & Okagaki, L.(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Hillsdale : lawrence Erlbaum, 227-250.
  50.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51. Benson, M. J., Larson, J., Wilson, S. M. & Demo, D. H.(1993). Family of Origin Influences on Late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 663-672. https://doi.org/10.2307/353347
  52. Block, J. H.(1983). Differential premises arising from differential socialization of the sexes: some conjectures. Child Development, 54, 1335-1354. https://doi.org/10.2307/1129799
  53. Boszormenyi-Nagy, I., & Ulrich, D. N.(1981). Contextual family therapy. in A S. Gurman & D. P. Kniskern(Eds), Handbook of Family Therapy, N.Y: Brunner/Mazel.
  54. Bowen, M(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Y.: Jason Aronson.
  55. Bowlby, J.(1973). Attachment and loss. Vol.2 : Separation. N.Y.: Basic Book.
  56. Bretherton, I.(1991). The Roots and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On Marris, P., Stevenson-Hinde, J. & Parkes, C.(Eds.), Attachment across the Life Cycle. N.Y: Basic Books.
  57. Cohn, D. A (1990). Child-mother attachment of six-year-olds and social competence at school, Childed Development, 61, 152-62. https://doi.org/10.2307/1131055
  58. Crowell, J. a. & Feldman, S. S.(1988). Mothers' internal models of relationships and children's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status : A study of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8, 976-984.
  59. Davies, P. T., & Cummings, E. M(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3), 387-411.
  60. Hoffman, J. A. (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of late adolescents from their par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170-178.
  61. Johnson, V. K.(2001). Marital interaction, family organization and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 Explaining variations across family interaction contexts. Family Process, 40(3), 333-342.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1.4030100333.x
  62. Lieberman, J. N.(1977). Playfulness : Academic Press.
  63. Luster, T., & Okagaki, L.(1993).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4. Martin, B.(1975). Parent-child relations. In F. D. Horowitz(Ed.).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Vol.4).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Morris, D.(1980). Infant Attachment and Problem Solve in the Toddler : Relations to Mother's Family Hist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66. Nichols, M. P. & Schwartz, R. C. (2001). Family Therapy : Concepts and Methods. Boston, London, Sydney & Toronto: Allyn & Bacon. 김영애 외 7인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67. Rick, M. H.(1985). The Social Transmission of parental Behavior : Attachment Across Generations, In Bretherton, I & Waters, E(Eds.),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 66-104.
  68. Someya, T., Uehara. T., Kadowaki, M, Tang, S., & Takahashi, S.(2000). Effect of gender difference and birth order on perceived parenting style, measured by the EMBU scale, in Japanese.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53, 77-81.
  69. Sroufe, L. A, Jacobvitz, D., Mangelsdorf, S., DeAngelo, E., and Ward, M. J.(1985). Generational boundary dissolution between mother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a relationship systems approach. Child Development, 56, 317-325. https://doi.org/10.2307/1129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