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Accidents in the Expressway Structure Construction

고속도로 구조물공사의 안전사고 특성분석

  • Received : 2009.10.05
  • Accepted : 2010.03.10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e expressway construction work is being recently diversified even the working environments and the working kinds due to getting large scale, complexity, and high technology. The accidents are increasing according to large scale even in construction equipment and to a rise in high-ground work, thereby being required an effort of reducing accidents. However, it is insufficient in a means of coping with the technically safety management of using specific and scientific method. In order to prevent accident, a specific plan is needed that can apply each in variables to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the accident types and accident factors with statistical method. Accordingly, this study carried out investigate on accidents for 12 years in the expressway construction work, and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n the accident type and conversion disaster-victim number according to factors with occurrence of accidents. Thus, th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research,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ccident type by accident factor,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a cause for occurrence of accident and height with occurrence of accident. Second, among factors by period, the time with occurrence of accident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version disaster-victim number. Among factors by work condition, the cause for occurrence of accident, the height with occurrence of accident, and the type with occurrence of accident were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version disaster-victim number. What suggested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in these factors and variables has important significance as a countermeasure for safety management.

최근 고속도로 건설공사는 대형화, 복잡화, 첨단화로 인한 작업환경 및 작업의 종류도 다양화 되고 있다. 공사 장비 또한 대형화와 고소작업의 증가에 따라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건설재해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구체적이고 과학적 방법을 사용한 기술적 안전관리 대처 수단이 미비하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 안전사고 유형 및 사고요인 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각 변수들에 대한 안전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건설공사의 12년간 안전사고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사고발생요인들에 따라 사고유형 및 환산재해자수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고요인별 사고유형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검정한 결과 사고 발생 원인 및 사고발생 높이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간별요인 중에 사고발생시간이 환산재해자수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작업여건별 요인 중에는 사고발생원인, 사고발생높이, 사고발생유형이 환산재해자수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과 변수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제시한 결과는 향후 안전관리 대책 수립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인희(2007), "건설관리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건설회사 본사와 현장의 자율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3권, 12호.
  2. 임지영(2008), "건설현장에서 안전재해 예방을 위한 발주자의 안전관리역할", "한국시공학회논문집", 8권, 제5호.
  3. 양용철(2004),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선과 공정관리와의 연계운영방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5권, 제2호.
  4. 박준기(2008), "건설현장의 추락재해 감소방안을 위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대회.
  5. 이주성(2008),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자율안전관리활동개선에관한연구", "한국시공학회논문집", 제8권, 5호.
  6. 노동부.한국산업안전공단, "근로자 예방을 위한 발주자 및 감리원 안전관리 실무편람", 건설 2007-24-77.
  7. 한국도로공사 실무편람, 2008.
  8. J. Hinze(2005), D. Bren, N. Piepho, "Experience modification rating as measure of safety performance." J.Constr. Eng. Manage. 121(4), 1995.

Cited by

  1. Major Accident Factors for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f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vol.139, pp.6, 2013, https://doi.org/10.1061/(ASCE)CO.1943-7862.0000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