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The Direction to Assessment of School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2009 Reformed Curriculum

  • 투고 : 2010.03.11
  • 심사 : 2010.04.09
  • 발행 : 2010.05.15

초록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에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세 주제, 창의성, 다문화, 그리고 수학적 성향을 중심으로 미래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창의성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융통성에 대한 평가문항의 활용뿐만 아니라 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관한 문항개발도 이루어져야함을 제기하였다. 다문화영역에서는 단순히 한국어 교과만이 아니라 수학교과에서도 다양한 학습방법과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해서 다문화권 학생이 언어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수학적 능력을 평가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중 언어 프로그램에 따른 평가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학생의 매우 낮은 수준의 수학적 성향은 고등교육에서 인재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등의 성향을 향상될 수 있게 먼저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하며 다양한 유형의 설문지를 개발하고 면담기법을 이용한 과정평가에 더욱 노력해야한다.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rection to assessment of school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2009 reformed curriculum. As new trends in the latest reformed 2009 curriculum, creativit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athematics disposition were focused. In creativity, more items should be developed for enhancing students' ability in areas of fluency, elaborateness, and originality, besides flexibility which was mostly dealt in the formal assessments that have been done previously in school. In multicultural education. purposeful bilingu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mathematics education to improve not only students' language skill, but also mathematical ability. In mathematical disposition, various questionnaires including checklists along with clinical interview should be provided to evaluate students' on-going process of mathematical lear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옥기 (2006). 수학과 학습지도와 평가론, 서울: 경문사.
  2. 고상숙 (2003). 수학적 탐구력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의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5), pp.647-672.
  3. 고상숙 (2009). 다양성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학습현장에서 수학교육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pp.389-409.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 2009-41호.
  5. 교육인적자원부 (1997). 수학과 교육 과정,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6. 교육인적자원부 (2006).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6-75 및 2007-79호에 따른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 7차 개정 교육과정.
  7. 교육인적자원부(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8.
  8. 김경희․김선희․김지영․박선용․김수진․김남희․박효희․정송 (2008). TIMSS 2007 공개문항 분석 자료집, ORM 2008-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김명숙 (200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연구의 주요 쟁점과 발전방향, 교육평가연구, 16(1), pp.241-264.
  10. 김명주 (2006). 지필 평가 문항의 개방형 진술이 수학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국 (2004). 수학적 성향의 교육,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8(1), pp.173-182.
  12. 김응태․박한식․우정호 (1985). 수학교육학 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3. 박도순․홍후조 (2006).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서울: 문음사.
  14. 법무부 (2009).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09년 3분기 통계.
  15. 변은진 (2001).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평가가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 석사학위논문.
  16. 서정표 (1993). 수학적 성향의 평가 방법 및 절차에 대하여, 靑藍數學敎育, 3, pp.221-227.
  17. 성태제 (2005). 현대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18. 신현용․한인기 (1999). 수학 영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방향 모색, 靑藍數學敎育, 8, pp.15-44.
  19. 오은선 (2009).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탐색 세미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III)-한국어교육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원진숙 (2009).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탐색 세미나,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 프로그램.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이미경․곽영순․민경석․채선희․최성연․최미숙․나귀수 (2004). PISA 2003 결과 분석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이정미 (2009).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차방정식에 관한 문장제 해결과정 및 해결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윤영․고상숙 (2009). 다문화권 학생들의 초등수학 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4), pp.419-423.
  24. 조석희․황동주 (2007) 중학교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영재교육연구, 17(1), pp.1-26.
  25.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 조사, 정책연구과제2006-이슈-3,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6. 하민수 (1997). 초등학교 수학교과 팀 티칭 효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한국교육개발원 (1986). 수학적 사고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 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개선을 위한 세미나. ORM-2008-16.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9. 황범주 (2008).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 분석,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황혜정․나귀수․최승현․박경미․임재훈․서동엽 (2008).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31. Attali, J. (2006). 제7회 세계지식포럼(10월 19일자), 서울: 매일경제.
  32. Balka, D. S. (197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6(01), pp.98. (UMI No. AAT 7515965).
  33. Cronbach L. J (1963). Educational psychology,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34. Fouche, K. K. (1993).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Multiple Solution Methods in a Cross-cultural Study in Middle Level Mathematics. University of Florida, Doctoral Dissertation.
  35. Jensen, B. T.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Spanish Use in the Classroom and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Spanish-Speaking kindergartners. Journal of Latinos and Education, 6(3). pp.267-280. https://doi.org/10.1080/15348430701312909
  36. Krutetskii, V. A (1976) :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 Krulik, S., & Rudnick, J. A. (1999). Innovative tasks to improve critical- and creative-thinking skills. In I. V. Stiff (Ed.),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pp.138-14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8. OECD/PISA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First Results from PISA 2003. OECD/PISA.
  3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5). Asse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42. Nevo, D. (1995). School-based Evaluation: A Dialogue for School Improvement. Oxford : Pergamon.
  43. Resnick, L. B. (1987). Education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4. Toffler, A. (2006). 인터뷰기사(12월 16일자, p. B6), 조선일보.
  45.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aglewood Cliffs, NY: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