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수학에서 $0^0$의 지도 방안

A Study on Teaching $0^0$ in High School Mathematics

  • Kim, Dong-Hwa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ong, Woo-Chorl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3.15
  • 심사 : 2010.04.05
  • 발행 : 2010.05.15

초록

고등학생들이 부정형의 한 형태인 $0^0$을 올바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비교적 최근까지도 $0^0$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수학자들 사이에 약간의 논란이 있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는 $0^0$에 대한 명확한 처리방법이 명시되지 않고 있으므로 어떤 학생들은 그것의 값이 무엇인지 질문을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0^0$과 관련된 자료들을 토대로 역사적 수학적 분석을 통하여 $0^0$은 부정형임을 명확히 하고, 현직 교사와 최근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고등학교 교육현장의 $0^0$에 대한 교수 실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교사와 예비교사를 위하여 $0^0$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It has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that high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properly interpreting the form $0^0$. The treatment of $0^0$ was still a subject of a slight controversy among mathematicians until relatively recently. Since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high school does not provide the definite treatment of $0^0$, some students might be inclined to ask what the value of the form is. In this research, we review materials dealing with $0^0$ and analyze historically and mathematically the form, whose true meaning is an indeterminate form. We identify the reality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high school by conducting simple surveys targeting some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s recently. Then we discuss, for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how to teach the form $0^0$ in high school mathema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 박배훈 외 6인 (2002). 고등학교 수학I 교사용 지도서. 서울: 법문사.
  3. 박지현 (2007). 중학교 영재학생과 예비교사의 영(0)에 관한 인식과 오류.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A <수학교육> 46(4), pp.357-369.
  4. 우정호․정영옥․박경미․이경화․김남희․나귀수․임재훈 (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pp.31-68. 서울: 경문사.
  5. 이강섭 외 6인 (2002). 고등학교 수학I 교사용 지도서. 서울: 지학사.
  6. Knuth, D. E. (1992). Two Notes on Notation.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99(5), pp.403-422. https://doi.org/10.2307/2325085
  7. Lovitt, W. V. (1918). Geometrical and Other Illustrations of Indeterminate Form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pp.41-44.
  8. Moritz, R. E. (1921). On the Geometrical Representation of Indeterminate Form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28(5), pp.211-217. https://doi.org/10.2307/2973755
  9. Paige, L. J. (1954). A Note on Indeterminate Form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61, pp.189-190. https://doi.org/10.2307/2307224
  10. Rotando, L. M., & Korn, H. (1977). The Indeterminate Form $0^{0}$. Mathematics Magazine, 50(1), pp.41-42. https://doi.org/10.2307/2689754
  11. Stain, S. K. (1982). Calculus and Analytic Geometry, Third Edition, pp.356-357. Columbus: McGraw-Hill.
  12. Stewart, J. (2005). 대학미적분학, 제2판, pp.316-317. 서울: 경문사.
  13. Vaughan, H. E. (1970). The Expression $0^{0}$. The Mathematics Teacher, pp.111-112. Rest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4. Watson, G. C. (1961). A Note on Indeterminate Form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68(5), pp.490-492. https://doi.org/10.2307/23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