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체육수업의 차이분석

Analysis of Distinction according to Athletics Class Teaching of Sport Activities Participation by Primary School Female Teachers

  • 투고 : 2010.06.15
  • 심사 : 2010.07.01
  • 발행 : 2010.07.28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체육수업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스포츠활동 참여유무, 참여유형, 참여정도(빈도, 강도, 기간)에 따른 체육수업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인천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중에서 여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t-검정, 일원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여교사는 비참여 교사에 비해 체육수업 인식 및 체육 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 여교사 중에서 스포츠 참여 유형에 따른 체육수업은 간접적 대결 활동군이 수행기록 활동군과 심미적 활동군에 비해 체육 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체육수업은 참여빈도에서 주 2회 이상 참여한 여교사가 주 1회 이하로 참여한 여교사보다 체육교수활동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체육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of distinction according to athletics class teaching of sport activities participation by primary school female teachers. The result showed that primary school femal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had higher average in athletic class recognition and athletic class teaching than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participators to sports activitie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direct competition type sports" had higher average in athletic class teaching than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performance record type sports" or "aesthetic sport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wice and more than twice a week had higher average in athletic class teaching than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once or less than once a week.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regarding participating time or participating period in sports activities. In conclusion, our research suggests that sports activities participation by primary school female teachers gives positive impact to athletic class teach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공미진, "여교사들의 여가 스포츠 활동 참여 실태 조사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 (V)", 교학사(주), 1998.
  3. 김경복, "중등교사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 김나연,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활동이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 김재영,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체육 참여가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 김형래, "교사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 및 태도에 관한 조사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7. 김동천, "초등학교 교사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 박성언, "학교체육에 대한 인식이 생활체육 참여 실태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9. 신재호, "중등교사의 스포츠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안진원,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 양재근, 김우성, 스포츠와 사회환경(2판), 도서출판 레인보우북스, 2008.
  12. 이유경,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 스트레스 요인과 수업실태분석",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3. 이주환, "초등학생의 스포츠 참가가 또래지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4. 임번장, "생활체육의 의의 및 필요성", 스포츠 과학, 제35호, 1991.
  15. 임현주, 유정애,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시간에 참여하는 신체활동에 관한 견해:사례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41권, 제5호, pp.285-295.
  16. 최재천,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스포츠 활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7. 편미경, "직장인의 주5일제 실시에 따른 생활체육 참여유형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8. 한국선, "중등교사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직무태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9. J. F. Murphy, Concepts of Leisure(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