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me Trail District Planning for the Regional Activation -Case study on project of Trail construction each of the government agencies-

지역 활성화를 위한 테마길 조성 방안 -부처별 길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최자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정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0.08.05
  • Accepted : 2010.09.1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me trail construction should be changed from existing form which connects line to line, or point to line. It should be developed into area form. The project of Trail construction must be converted in area form. The aggregate of the points which is a base element of walk is a line, and the harmonious connection of various line is the area. The close relationship with points and lines is important to operate the project of trail construction in area form effectively. Subject of the project of Theme trail construction of area form must become the village residents which are being contiguous in trail. They must operate management and about trail. The project of Trail construction of area form the plan making is established and if the subjects which, will operate and manage that place are decided upon according to theme must construct the trail of the wide area concept which connects the trail of that trail and neighborhood. If becomes like that local resident and the citizen will be able to coexist with mediation of Trail. If the project of Trail construction of village resident leading is propelled applying rural amenity resources in a way, the trail model which one phases advances could be presented for ecological, economical and cultural.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 (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 프로그램 및 자연해설. 국립공원 관리공단.
  2. 김기원. (2009). 숲길 계획의 개념적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2), 11-24.
  3. 김종혁. (2004). 역사에서 '길'이란 무엇인가. 역사비평, 68, 331-345.
  4. 김재준. (2003).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산림.임업분야 영향 및 대응방안. 임업연구원.
  5. 김정아. (1996). 트레킹코스 조성계획: 고성군 일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복영. (1996). 김해시 역사.문화자원 네트워크 조성계획.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7. 김홍은, & 박재인. (1993). 군자산 자연관찰로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농업과학연구, 10(2), 89-107.
  8. 농촌진흥청. (2009).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Green Road 개발 연구 완료 보고서. 농촌진흥청.
  9. 민성환. (1998). 자연관찰센터 및 자연관찰로 조성계획.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10. 민현석. (2010). 스토리텔링을 통한 옛길 가꾸기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6(2), 205-212.
  11. 문화체육관광부. (2006). 한국 문화콘텐츠.관광연계 프로그램 개발방안 중 사례연구. 문화체육관광부.
  12.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여가백서. 문화체육관광부.
  13. 문화체육관광부. (2009).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from http://www.mcst.go.kr/
  14. 서영진. (1994). 지방자치와 지역활성화. 24, 나남.
  15. 이관규, 조소희, & 장갑수. (2010). 청도 운문 신화랑 에코트레일 조성계획. 2010년 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3-7.
  16. 이주희. (1998). 통고산.청옥산 자연휴양림 자연관찰로 개발사례, 산림휴양연구회, 2(1), 37-45.
  17. 장혜영. (1999). 생태관광지의 야생동물탐방로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18. 전명숙. (2010). 슬로우관광의 탐색적 고찰 -제주올레투어 걷기여행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8(1), 109-123.
  19. 조우, 최송현, & 유기준 (2009). 변산반도 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해설 매체 이용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27-134.
  20. 전명진. (1994). 서울시 도심부 역사탐방로 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인경. (1999). 백두대간 트레킹 코스 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휘. (2008). 광역생태탐방로 노선선정 계획기법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3. 조규남, & 문현식. (2009). 지리산 국립공원 자연관찰로 이용 행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43(1), 9-16.
  24. 제주관광공사. (2010). 제주 올레길 이용객 실태조사 보고서. 제주관광공사.
  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스토리가 있는 문화.생태탐방 천리길 추진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6. 환경부. (2008). 생태문화탐방로 조성 가이드라인 연구. 환경부.
  27. 최충호, 박종민, & 김선영. (2005). 전라북도 자연휴양림내 숲길 현황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4), 1-14.
  28. Chhetri, P., Arrowsmith, C., & Jackson, M. (2004). Determining hiking experiences in nature-based tourist destinations. Tourism management, Vol 25(1), 31-43.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057-8
  29. Douglass, R. W. (1975). Forest Recreation. 2nd Ed, 184-194, Pergamon Press.
  30. Roberts, L, & D. hall. (2001). Rural Tourism and Recreation: Principles to practice, New York: CABI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