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Pellet Prepared from Sawdust and Wood-tar

목타르와 톱밥을 혼합하여 제조한 펠릿의 특성

  • Kwon, Gu-Joong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won, Sung-Min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a, Du-Song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Hun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권구중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권성민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차두송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Received : 2009.12.14
  • Accepted : 2009.12.31
  • Published : 2010.01.25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ellets manufactured from sawdust, and a mixture of liquid wood-tar and sawdust. Pellets were prepared at room temperature under 2000 kgf/$cm^2$ us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pellets prepared from Q. variabilis wood had slightly higher density than those prepared from P. densiflora wood.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from Q. variabilis wood pellets was smaller than those from P. densiflora wood. The pellets from P. densiflora wood had higher heating values than those from Q. variabilis wood. The wood pellets manufactured with wood tar showed higher moisture content, density and heating value, but lower fine particl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wood tar can be used to obtain the higher quality wood pellets.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와 굴참나무재의 톱밥을 이용하여 제조한 목재펠릿과 두 수종의 톱밥에 목타르를 혼합하여 제조한 펠릿의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펠릿은 상온에서 만능강도측정기를 이용하여 2000 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작하였다. 목재펠릿의 밀도는 굴참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것이 소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것보다 다소 높았고, 미세분 발생량은 굴참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펠릿이 소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펠릿보다 낮았다. 발열량은 소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펠릿이 굴참나무 톱밥으로 제조한 펠릿보다 다소 높았다. 톱밥과 목타르를 혼합하여 제조한 펠릿은 목타르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 밀도 및 발열량이 높게 나타났고, 미세분 발생량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타르는 고품질 펠릿제조를 위한 원료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lakangas, E. and P. Paju. 2002. Wood pellets in finland - technology, economy, and market. Organisations for the Promotion of Energy Technologies report 5., Jyvaskyla. VTT processes: 13-14.
  2. Dhamodaran, T. K., R. Gnanaharan, and P. K. Thulasidas. 1989. Calorific value variation in coconut stem wood. Wood Sci. Technol. 23: 21-26. https://doi.org/10.1007/BF00350603
  3. Satonaka, S. 1963. Fundamental study on wood carbonization. The research bulletin of the college experiment forest, college of agriculture, Hokkaido university 22: 609-814.
  4. Soltes, E. J. and T. J. Elder. 1980. Pyrolysis, in organic chemicals from biomass, ed I.S. Goldenstein, CRC Press, Boca raton. pp. 73-81.
  5. White, R. H. 1987. Effect of lignin content and extractives on the higher heating value of wood. Wood and Fiber Science. 19(4): 446-452.
  6. 국립산림과학원. 2009. 국립산림과학원고시 제2009-2호. 국립산림과학원
  7. 권구중, 김남훈, 차두송. 2009. 국내 시판중인 목재펠릿의 특성. Journal of forest science 25(2): 127-130.
  8. 권성민, 조재현, 이성재, 권구중, 황병호, 이귀현, 한규성, 차두송, 김남훈. 2007. 산불피해 소나무재의 목질펠릿으로서의 이용가능성 평가. 목재공학 35(4): 14-20.
  9. 박상범, 김수원, 박병대, 한태형, 강은창, 박종영, 문성필. 2005. 목타르 혼합 페놀수지 접착제의 접착성능. 임산에너지 24(1): 28-32.
  10. 이수민, 이오규, 안병준, 최석환, 조성택, 김외정. 2009. 저탄소녹색성장시대 청정에너지 목재펠릿. 산림과학속보 09-02. 국립산림과학원.
  11. 정성호, 박병수. 2008. 한국산 유용수종의 목재성질. 국립산림과학원.
  12. 한규성. 2006. 목질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연료의 제조.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521-524.
  13. 한규성, 김병로. 2006. 목질펠릿으로 제조한 탄화물의 특성. 목재공학 34(3): 15-21.
  14. 한규성, 여진기. 2003. 고밀화에 의한 현사시 톱밥의 고형 연료화. 임산에너지 22(2): 54-59.
  15. 한규성, 최돈하. 2002. 포플러로부터 고밀화 연료의 제조. 임산에너지 21(3): 59-65.

Cited by

  1. Effect of the Addition of Binders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vol.41, pp.6, 2013, https://doi.org/10.5658/WOOD.2013.41.6.475
  2.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Woodpellet Manufactured from Pinus densiflora S. et Z. and Pinus rigida Mill vol.43, pp.3,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3.374
  3. Evaluating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Fabricated with Wood Tar and Starch as An Additive vol.42, pp.3, 2014, https://doi.org/10.5658/WOOD.2014.42.3.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