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fecting Factors on Nurses' Stress-Coping in Schoolwork

학업 병행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Young-Im (Department of Nursing.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Lee, Bok-Im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 이복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Received : 2010.10.31
  • Accepted : 2010.11.07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ess-coping level and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nurses' stress-coping in schoolwork.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carried out among 340 nurses in schoolwork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general factor, schoolwork related factor, health related factor, work related factor, stress level and stress-coping leve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of stress-coping level was 2.23 (SD=0.27). Time for study, exercise, and work as well as stress on daily life and job str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es' stress-coping level in schoolwork.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n important resource to improve stress-coping strategies of nurses in schoolwork.

Keywords

References

  1. 김금순 (2006). 한국전문간호사 주역할 및 기능. 국제한인간호재단․한국간호과학회 공동 국제학술대회, 서울.
  2. 김양회, 김진희, 박정윤 (2001). 중년기 남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원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57-172.
  3. 김영임, 박은옥 (2003). 간호학특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4. 김인선 (2009). 근로환경개선 정책토론회. 대한간호협회, 서울.
  5. 박상회, 이경용, Kawamura N, Komaki G, 정진욱, Tomioka M. (2001). 한국 근로자를 위한 daily hassles 스트레스 척도 개발. 보건과사회과학, 9, 47-65.
  6. 안지영, 정혜선, 김형아 (2007). 일개 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6(2), 139-146.
  7. 임경숙 (2004). 일부 지하철 근로자의 대처 행위와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8. 임남구 (2004).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안녕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9.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등 (2005).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10. 장숙희 (2006).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와 호스피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비교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11. 조현숙 (2000).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지각요인과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부산.
  12. 최용식 (2003). 맞벌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가족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13. 최종향 (2003). 건강보험 공단 직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4. 최진, 박현주 (2009). 학업을 병행하는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간호행정학회지, 15(1), 37-44.
  15. 최혜선 (2007). 생산직 남성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대처.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16. 황인성 (1998).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17. Chang, E., Daly, J., Hancock, K., Bidewell, J., Johnson, A., Lambert, V. et al.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workplace stressors, coping method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in Australian nurses. J Prof Nurs, 22, 30-38. https://doi.org/10.1016/j.profnurs.2005.12.002
  18. Higashiguchi, K., Morikawa, Y., Miura, K., Nishijo, M., Tabata, M,, Ishizaki, M. et al. (1999). Burnout and related factors among hospital nurses. J Occup Health, 41, 215- 224. https://doi.org/10.1539/joh.41.215
  19. Leiter, M. P. (1991). Coping patterns as predictors of burnout: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 Organ Behav, 12, 123-144. https://doi.org/10.1002/job.4030120205
  20. Pines, A., & Aronson, A. (1988).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NY: The Free Press.
  21. Shaw, C. (1999).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coping, illness behaviour and outcomes. J Adv Nurs, 29, 1246-1255.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9.01010.x
  22. Shimizutani, M., Odagiri, Y., Ohya, Y., Shimomitsu, T., Kristensen, T. S., Maruta, T. et al. (2008). Relationship of nurse burnout wi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oping behaviors. Ind Health, 46(4), 326-335. https://doi.org/10.2486/indhealth.46.326
  23. Silva, A. A., de Souza, J. M., Borges, F. N., & Fischer, F. M. (201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working conditions among nursing providers. Rev Saude Publica, 44(4), 718-725. https://doi.org/10.1590/S0034-89102010000400016
  24. Trevizan, M. A., Mendes, I. A., Mazzo, A., & Ventura, C. A. (2010). Investment in nursing human assets: education and minds of the future. Rev Lat Am Enfermagem, 18(3), 467-471. https://doi.org/10.1590/S0104-11692010000300024
  25. Weiss, G. L., & Lonnquist, L. E. (2003). The Sociology of Health, Healing, and Illness (4th eds.). NJ: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