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Wooden Frame Structure of Kumdang in Yongamsaji

영암사지(靈巖寺址) 금당의 목조 가구구조(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 윤재신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Received : 2010.05.18
  • Accepted : 2010.09.02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Buddhist temple, Kumdang in Youngamsaji which assumed to be built in the 9th century of Unified Silla Dynasty. The remaining site of Kumdang in Youngamsaji is investigated thoroughl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bay size and column distribution. Th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which were built in the same period also have the same frame type as Youngamsaji Kumdang. Thes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Kumdang in Youngamsaji are meticulous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bay sizes and measuring modules. The framework schema is devised as a conceptual tool to conjecture wooden frame structures of Buddhist temple. A theoretical differentiation between frame type and frame structure is attempted to formulated a wooden frame structure as a stepping-stone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mainly follows the oldest Korean wooden pavilion, Muryangsujeon in Busuk temple, with a hip and gable roof.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is reconstructed through 3D computer modeling to such an extent that every wooden components of the structure can be 3D printed. The reconstruction also takes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Keywords

References

  1. 고유섭, 한국건축미술사초고, 대원사, 1999
  2. 윤장섭, 최신증보판 한국의 건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3. 문화재연구소, 황룡사복원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5
  4. 동아대학교 박물관, 합천영암사지 I, 1985, 합천영암사지 II, 2005
  5. 전봉희. 이강민, 3칸X3칸 한국 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6. 김동현, 한국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1995
  7. 윤재신 옮김. 궈칭화 지음, 중국목조건축의 구조, 동녘, 2006
  8. 한동수외 옮김.유돈정 지음, 중국고대건축사, 세진사, 1995
  9. 이종인 옮김. 조나단 컬러 지음, 소쉬르, 시공로고스총서 03, 1998
  10. 장기인, 한국건축대계 V: 목조, 보성각, 1998
  11. 김동욱, 한국 목조건축에 내진과 외진은 존재했는가?, 건축역사연구 제11권 3 호, 145-151쪽, 2002
  12. 이강근, 한국과 중국의 고대 불교건축 비교 연구, 미술사학연구, 제230호, 5-38쪽, 2001
  13. 김도경/주남철, '영조법식' 대목작제도 번역, 건축사, 1995년 2월
  14. 윤장섭, 한국의 영조척도, 대한건축학회지 19권 63호, 2-10쪽, 1975
  15. 김영필외, 고대 건물지의 영조척도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16권 4호, 95-110쪽, 2007
  16. 김영필외, 통일신라시대 건물지에 적용된 척도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17권 4호, 7-23쪽, 2008
  17. 김도경, 봉정사 극락전의 평면과 가구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0-172쪽, 2003년 5월
  18. 이강근, 한국 고대 불전건축의 장엄법식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 제12호, 한국 미술사교육학회, 56-60쪽, 1998
  19. 이정국외, 고려시대 불전과 불상의 봉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권7호, 127-134쪽, 1998년 7월
  20. 류성룡, 봉정사 대웅전 팔작지붕 가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25-131쪽, 2007년 5월
  21. 류성룡, 주심포 팔작지붕의 전각부 결구 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3-151쪽, 2006년 2월
  2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1992
  23. 문화재청, 부석사 무량수전 실측조사보고서, 2002
  24. 안동시, 봉정사 대웅전 해체수리공사 보고서, 2004
  25.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불국사 복원공사보고서, 1976
  26. 문화재청, 관룡사 대웅전 수리보고서,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