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기술위성 3호 대용량 메모리에 대한 오류복구 코드 및 SEU 시험 결과 분석

Error Correction Code and SEU Test Analysis of Mass Memory for STSAT-3

  • 서인호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
  • 유광선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
  • 오대수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
  • 김병준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 투고 : 2009.10.26
  • 심사 : 2009.12.28
  • 발행 : 2010.01.01

초록

과학기술위성 3호 대용량 메모리를 SEU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4비트 심볼을 이용하는 RS(10,8) 코드를 개발 하였다. 따라서 32비트 데이터에 대해서 8비트의 페리티를 추가 하였으며 1 심볼에 대해서 에러를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우리별 3호의 결과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SEU 발생률과 스크럽 주기를 계산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원자력 의학원에 있는 Cyclotron 양성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SEU 시험을 수행 하였다.

RS(10,8) Code by 4-bit symbol was developed to protect the mass memory of STSAT-3 from SEU in orbit. Therefore, one symbol can be corrected for 32-bit data with 8-bit parity configuration. Moreover, scrubbing period and SEU occurrence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KITSAT-3 result. A prediction of SEU rates was performed based on the ground experiment results with a proton accelerator in the KIRAMS(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Medical Sci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성우, 박홍영, “과학기술위성 1호 탑재 컴퓨터에서의 SEUs 극복을 위한 메모리 운용 및 해석”, 항공우주학회지, Vol. 32 (1), pp. 98-105, 2004. https://doi.org/10.5139/JKSAS.2004.32.1.098
  2. 곽성우, “과학기술위성 3호 대용량 메모리에서의 SEU 극복 방법 및 확률해석”,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45권 4호, pp. 35-41, 2008.
  3. 김병준, 곽성우, 유상문, 김형신, “과학기술위성 3호 탑재 컴퓨터와 대용량 메모리에 적용될 EDAC 알고리즘의 비교 및 분석”, 2008년도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2, pp. 1586 - 1589.
  4. http://www.informit.com/content/images/art_sklar7_reed-solomon/elementLinks/art_sklar7_reed-solomon.pdf
  5. Kwangsun Ryu, Goo-Hwan Shin, Hyung-Myung Kim, Heejoon Kim, and Kyungwook Min, "Single Event Upset Measurements of Memory Chips for the Langmuir Probe on STSAT-2",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 52, No. 3, pp. 853-857, 2008. https://doi.org/10.3938/jkps.52.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