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기법을 이용한 자전거 이용자의 의식평가에 관한 연구 (창원.마산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cious evaluation of Bicycle User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Changwon-si and Masan-si in Korea)

  • 투고 : 2010.01.13
  • 심사 : 2010.02.22
  • 발행 : 2010.04.28

초록

최근 자전거이용활성화 정책은 많은 지자체에서 주요한 정책으로 선정되고 있다. 그리고 자전거 관련 연구는 사회적으로 자전거이용활성화 분위기 조성정도에 따라 연구방향에 있어 차이가 있다. 최근 선행연구에서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자전거이용 활성화 접근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지방도시는 광역시의 구단위 정도로 도시규모가 작기 때문에 접근방법을 다르게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도시규모가 작기 때문에 비교적 자전거로써 다양한 목적통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이용활성화를 위한 지방도시 지역주민의 의식평가 방법 고찰을 위해 30~50만 정도의 중규모 도시의 동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여건 외에 시설 및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식평가를 통해 자전거이용활성화를 위한 지역주민 의식평가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자전거이용활성화를 위한 지역주민 의식평가방법은 지방도시의 자전거 이용여건을 동별로 간단하게 비교 가능하게 하며, 동별 이용여건의 차이를 고려한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대한 구상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중규모 도시들의 자전거 이용여건 분석 및 차별화된 자전거 이용활성화 접근방안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active policies of bicycle in many municipalities have been selected as the main policies. And a bike-related research is a difference in the direction of research according to socially active atmosphere on a bike using. Recent the research of approaches to enable bike use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Busan has been conducted is differentiated. But A different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on the small town smaller than Metropolitan. Because of the relatively small city-size bicycle can be a variety of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to research awareness assessment methods of these local residents on the bike use inquires to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facilities and policies target for the dong unit of small towns with 300,000~500,000 people. Awareness assessment methods of these local residents for the revitalization of bicycle using enable the local and regional conditions of bicycle using to compare very easily and the conception on the revitalization of bicycles using will make it possible considering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conditions of dong unit. Therefore, this process will be important references to be considered a differentiated analysis and approaches to enable bike use of the conditions of small towns on the bicycle us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6), "자전거 이용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2. 권용석․이진각․손영태(2006),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건설에 따른 편익 산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6D호, pp.945-950.
  3. 김수성․송기욱․박종렬․정헌영(2008), "지역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자전거이용활성화 방안연구", 제59회 학술발표회 발표집, 대한교통학회, pp.611- 620.
  4. 김수성․송기욱․정헌영(2009), "지역특성에 따른 자전거이용 활성화 접근방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7-30.
  5. 김세용․배기목․이수일(2008),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지리학연구, 제42권 제1호, pp.35-48.
  6. 김용진․이경환․안건혁(2008), "자전거 통근율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요인 분석(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9권 제1호, pp.19-34.
  7. 김응철․오주택․김명섭(2007),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한 자전거사고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2권 제3호, pp. 261-272.
  8. 신희철․조항영(2007),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유형 재정립", 교통 기술과 정책, 제4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7-19.
  9. 오주택․김응철․김도훈(2007), "도시부 교차로에서의 자전거사고 심각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27권 제4D호, pp.389-395.
  10. 이승교․배기목․원제무․이수일(2006), "자전거 이용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학술대회, pp.639-647.
  11. 조정석․김종인․정만표(1994), "대구시에 있어서 자전거 도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Vol.1, pp.185-203.
  12. 황정훈․김갑수(2005), "자전거 주행환경 개선방안의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대한교통학회, pp.203-213.
  13. Karel Martens(2007), "Promoting bike-and- ride: The Dutch experien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41, pp.327-338.
  14. Robert B Noland(1995), "Short-run and Long-run policies for increasing bicycle transportation for daily commuter trips", Transport Policy vol.2 No.1, pp.67-79. https://doi.org/10.1016/0967-070X(95)93248-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