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매표창구수 최적화 시뮬레이션 설계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Design for the Optimum Number of Ticket Booth

  • 투고 : 2010.01.11
  • 심사 : 2010.03.13
  • 발행 : 2010.04.28

초록

승차권 발매 유형의 다변화 및 무인 발권 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효율적 역 운영을 위해 역사내 매표창구수 최적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고객 발권특성 및 서비스 시간 특성, 발권 현황 등에 대해 분석 제시한 바 있으나, 향후 발권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의사결정을 위해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 도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중인 주요 역의 매표창구 발권 현황 Data를 근거로 하여 역 매표창구수 최적화 및 민감도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였으며, 매표창구수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결과 역별 발권 및 운영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최소 1개~7개까지 축소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향후 매표창구 변화 운영에 따른 발권 실적 분석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지속적 검증을 수행할 계획이며 역 매표창구에서의 고객 대기시간 최소화 및 운영비용 절감을 위한 효율적 매표창구 운영 방안 수립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ticket issuing methods have been diversifi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s such as ticketless service(SMS ticket, e-ticket, home ticket), automatic ticket issuing machine and consignment ticket sale, maintaining the current number of ticket booth has been becoming a issue. This study is designed to simulation for the optimum number of ticket booth and which can affect an efficient operation of train station and improvement of customer convenienc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minimize customer waiting time at the ticket booth. In addition, presenting the optimum number of booth is expected to have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cost savings.

키워드

참고문헌

  1. 류시균(1994), "고속철도 역사내 여객시설 면적산정을 위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박광태․김민철(1999), "EXCEL 활용 의사결정", 박영사
  3. 김일기(1999), "은행창구 인력의 적정 배치를 위한 의사결정 모형 설계(대기행렬 모델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권성식(2001), "대기행렬이론을 이용한 통행시간 추정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과 석사학위 논문.
  5. 황정연(2002), "콜센터 상담원 스케줄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 논문.
  6. 노형진(2002), "Excel 2000에 의한 통계적 조사방법", 형설출판사.
  7. 최은주(2003), "공항 탑승수속의 대기행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신혜숙(2005), "고속도로 톨게이트 운영 결정 모형 개발 및 최적운영방안", 경원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박사학위 논문.
  9. 도철웅(2005), "교통공학원론(상) 대기행렬 모형", 청문각, pp.131-141.
  10. (사)대한건축학회(2005), "철도 건축물 설계 지침".
  11. 원제무(2006), "알기 쉬운 도시교통", 박영사.
  12. 김익희 외 2(2008), "역 매표창구수 결정 모형에 관한 연구", 코레일연구원.
  13. 한국철도공사(각 년도), "역별 발권 실적".
  14. 한국철도공사(2008, 2009), "역 활동원가 실적".